경북도청 제2청사는 영천을 중심으로한 동남권 유치를 서두르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같은 주장은 경상북도가 도청의 북부권 이전에 따른 동남권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제2청사 건립 계획을 내놓았지만, 1년이 다 되도록 지지부진하기 때문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경상북도가 제2청사 건립을 위한 예산은 현재 한 푼도 확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관심있는 이들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지역시민단체 한 관계자는 “지난해 6월 경북도는 도청을 북부권인 안동 예천으로 이전하면서 영천 포항 경주 등 동남권지역 행정기능 보강을 위한 제2청사 설치 계획을 발표했었다”면서 “차제에 경북도청 동남권 제2청사 건립시기를 앞당기는데 지역민의 힘을 모으자”고 강조했다.
경북도청 제2청사 문제는 지난해 도지사 선거를 앞두고 상대적으로 소외감을 느낀 동남권 주민들을 달래기 위해 본격적으로 제기됐다.
당시 김관용 지사는 "동남권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2014년 하반기에 1단계로 동해안발전추진단을 동해안발전본부로 개편하겠다.
2단계로 2015년 이후 경상북도 환동해발전본부를 설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경북도는 지난해 7월 동해안발전추진단을 동해안발전본부로 이름만 바꿨을 뿐, 별 진전이 없는 상태다.
“올 하반기로 예정된 도청의 북부권 이전으로 동남권 주민들은 접근성이 떨어져 큰 불편을 겪고 있다”는 것이 지역 여론인 가운데 “제2청사 건립 필요성에는 사회적 의견이 모아진 듯 하므로 동남권 각 지자체의 의견을 하나로 모아 공동 발전방안을 이끌자”는 것이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