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묵은 선거구 획정문제가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전국 최소 단일선거구로 알려진 영천이 인구수 10만3천명 하한선 유지가 어렵게 되자 영천시 인접 6개 시.군중 어느 지역과 통합되는지도 관심사로 떠올랐다.
최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위원회 산하에 설치되는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위원회에서 오는 10월 중순까지 선거구획정안을 마련해 국회에 제출하겠다고 밝히는가 하면 여야 농어촌지역 의원들이 인구 비례의 선거구 획정에 대한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하는 등 연일 선거구 획정문제가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움직임에 따라 지역 여론은 인접 6개 시.군중 영천시가 청도와 통합될 경우 출마자가 경산을 거쳐 선거운동을 다녀야 할 정도로 ‘신판 게리멘더링’이라는 비판이 불보듯 뻔하고 군위와 통합할 경우 하향평준화라는 지역민의 비난이 예상돼 실현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기존 통합선거구 유지가 어려워 아예 거론조차 되지 않는 청송을 제외하고라도 경산이나 포항과의 통합도 해당 지역 정서상 영천과의 통합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나머지 신라 천년의 고도 경주와의 통합에 있어서는 설립예산이 수백억에 달하는 화장장 등 영천에 없는 도시기반시설 이용이 가능하고 도시이미지 개선에 효과적이라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소수의견이지만 야당쪽의 주장대로 국회의원 수를 늘림으로써 현행 단일 선거구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주장도 있다. 결국 선거구 획정 문제는 현직 국회의원이나 정치 실력자들의 사적 이익에 따라 결정될 공산이 높다는 것이 이들의 시각이다.
2014년 말 기준 10만6백23명이었던 영천 인구는 올 6월 현재 10만3백여명으로 잠정 추정돼 단일 선거구 유지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