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시의 렛츠런파크영천 조성, 항공산업유치, 군사보호구역 일부 해지, 영천 한민고 유치 등 활발한 투자 유치와 도시기반 확충으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경북동부신문이 영천발전의 기틀이 되는 ‘영천시 인구늘리기’ 연중 캠페인에 들어갔다. ‘살기 좋은 영천으로 주소를 옮깁시다’라는 캐치 프레이즈를 내걸고 연중 계속될 이번 캠페인을 통해 본지는 지면을 활용해 현안과 보다 구체적인 실현방안 제시와 함께 다양한 의견을 모아본다. 28년째 교사 생활을 하고 있는 A씨는 수업이 종료되면 곧바로 자신의 승용차를 이용해 대구로 향한다. 퇴근 시간이면 A씨의 출.퇴근용 승용차에는 다른 동료교사 3명이 함께 타고 있었다. 대구에서 출퇴근하는 교사들끼리 카풀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이 이 학교에 근무하는 교직원 절반 이상이 대구 등 외지에서 출퇴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때문에 학교측은 학생들의 야간수업을 위한 교사 배정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로인해 일부 학부모들도 학생들의 야간수업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영천시청에 근무하는 공무원 B씨의 가족들도 대구에 거주하고 있다. 자식 교육문제 때문이 어쩔 수 없이 대구로 이사를 갔다고 한다. 하지만 B씨 혼자만 영천에 주소지를 두고 있다.혼자 거주하는 원룸을 구입했지만 퇴근 시간이면 거의 대구로 향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영천시청 공무원 상당수가 B씨와 같은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족들은 대구에 주소지를 두고 생활하면서 자신은 영천에 주소지를 두고 있는 두 가정 살림을 하고 있는 것이다.영천시청 공무원들은 물론 영천교육지원청 산하 각급 학교 뿐만 아니라 영천지역 각 기관단체에 근무하는 공무원 대부분이 대구 등 외지에서 출퇴근하고 있다. 한마디로 직장은 영천이지만 영천시민은 아닌 셈이다. 최근 영천시가 조사한 공무원 주소 현황에 따르면 영천시청 공무원 907명가운데 20명을 제외한 887명이 영천에 주소지를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영천교육지원청 산하 교육공무원의 경우 1천200명 가운데 740명이 대구 등 외지에 주소지를 두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천시가 인구늘리기를 위해 영천에 근무하는 각급 기관단체 등 공직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구 증가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인구늘려야 지역 경제가 살아난다영천시는 기관단체와 직원들의 거주지 상황을 협조 조사하고, 이들의 지역내 거주를 독려했으나 크게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또 시는 출산 장려금 지급 등 인구를 늘리기 위해 다각적인 사업을 벌이고 있으나 효과 면에서는 회의적인 분석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롯데리아 등 유명 체인점이나 유명 의류브랜드 대리점을 하려면 유동인구가 기준치에 미달하면 개설 해주지 않는다고 한다. 상권존립이 어려운 곳에서는 브랜드 가치까지 훼손시킬 수 있다는 분석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제품을 내놓더라도 어느 한계점에 다 달으면 더 이상 수요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이 기업의 판단이다. 인구를 늘려야 지역이 발전할 수 있다는 중대한 대목이다. 이들이 영천에서 대구로 주소지를 옮긴 상당수의 이유가 교육 문제 때문이라고 한다. 이는 인구유입정책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이다. 시민에게는 지역학교보내기, 지역상품 팔아주기 등 애향심을 강조하면서 정작 자신들은 이를 역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시민들의 신뢰를 잃어버리면 인구유입정책은 결국 실패로 끝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외지에 주소를 옮기는 것을 대수롭게 생각지 않은 공무원들에게 영천시의 미래를 찾을 수 없다 시는 지역을 위해 노력한 공무원에게는 인센티브를 제공해 용기를 북돋을 필요가 있다. 인구 늘리기 정책 공무원부터 나서야 한다. -영천시 인구늘리기 추진은?영천시는 그 동안 인구 늘리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영천 인구는 1972년대에 19만3천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1995년 영천시와 영천군 통합이후 계속 감소해 지난해 4월에는 10만360명으로 떨어졌다. 영천시 인구가 매년 2천여명씩 줄어든 것이다. 이에 영천시는 2017년까지 인구 15만 명 돌파를 위한 인구늘리기종합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시가 2014년 10만5천명 목표 달성을 하지 못하는 등 첫해부터 삐걱이고 있다. 시는 공무원, 학교, 기업체 , 유관기관 직원 등 전 분야에 걸쳐 인구늘리기 종합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인구늘리기 대책추진 첫해인 2014년 10만5천명, 2015년 11만명, 2016년 13만명, 2017년 15만명의 목표인구를 정하고 단계별 추진에 들어갔다.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1 20:03:53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