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 마름은 가볍게 여길 수 있는 증상 같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일시적으로 입이 마르는 것이 아니라, 하루 종일 입 마름이 지속될 경우엔 더욱 그렇다. 입 마름은 젊은 사람보다 나이든 노인에게 잘 발생한다. 전신적인 질환이나 구강 질환에 의한 경우도 있으나 특별한 질환이 없이도 입 마름으로 불편을 겪는 노인들이 이외로 많다. 입안을 사막으로 만드는 구강건조증, 그 원인과 해결책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침은 하루에 1~1.5L 정도로 많은 양이 분비된다. 식사나 음식물의 섭취에 의해 자극되어 분비되는 ‘자극 시 침 분비’가 있고, 가만히 있을 때도 분비되는 ‘안정 시 침 분비’가 있다. 침의 역할은 소화작용, 윤활작용, 저작시 보조작용, 용해작용, 자정작용, 항균작용, 완충작용, 치아의 보호작용, 체액량의 조절작용 등 다양하다. 때문에 침 분비량이 적어질 경우 입이 마르는 증상 이외에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침샘에는 귀밑샘, 턱밑샘, 혀밑샘의 3개의 큰 침샘이 있고, 입술이나 입천장 등의 점막에 무수히 많은 작은 침샘들이 존재한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침샘에서 침을 생산하는 조직이 감소하고 침샘에 보관되는 침의 량도 줄어들게 되어, 안정 시에 분비되는 침의 량 또한 줄어들게 된다. 노인층에서 구강건조증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를 이와 관련지어 생각해볼 수 있다. 하지만 구강건조증 환자에서 실제로 침샘의 기능저하가 있는 경우는 50%정도이기 때문에 다른 복합적인 원인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또 나이 드는 것 자체만으로 구강건조증의 원인을 설명하기에는 논란이 많다는 것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
그렇다면 구강건조증의 원인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몸 안의 수분량 감소, 그리고 각종 약제의 복용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나이가 고령화될수록 각종 성인병에 걸리기 쉽고 그에 따라 복용하는 약물이 많아지는데, 복용 약물 중 당뇨 등의 질환과 관련된 약제나 이뇨제 등을 포함하는 고혈압약, 항히스타민제, 항우울증 약 등의 정신과 약물들이 있을 경우 침의 분비가 줄어들어 구강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