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에 매진하고 있는 1997년! 각종 매스컴에서 발기부전 치료제인 비아그라가 개발되어서 1998년 3월에 FDA승인을 받아서 4월 7일부터 발매가 된다는 위대한 발기부전 치료의 서막이 알려졌다. 비아그라 출시전에는 발기부전으로 비뇨기과 내원하게 되면 발기부전치료목적으로 발기유발주사를 놓거나 발기부전치료목적으로 나온 다양한 혈류순환개선제를 처방한 정도였지만, 비아그라가 출시됨으로 그야말로 너무나도 확실하고 효과가 탁월한 발기부전 치료혁명이 시작된 것이다.1999년 10월 우리나라에서도 비아그라가 출시된 이후 비아그라, 시알리스, 레비트라, 자이데나, 엠빅스, 유프리마 등 다양한 발기부전약제들이 출시되었다. 이후 2012년 5월 17일 비아그라의 성분인 실데나필이 국내물질 특허가 만료됨으로서 현재 103종의 비아그라 복제약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으며(누리**, 헤라**, 비아**, 팔*, 프**, 오르**, 해피**, 포르**, 헤**, 실데**, 이디**, 자이**) 2015년 9월 3일에는 시알리스의 성분인 타다라필이 국내물질 특허가 만료되어서 현재 157종의 시알리스 복제약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어서(구*, 센*, 타오*, 타올라*, 타다포*, 해피*, 시스라*, 사일라*, 예스그*, 이렉시*, 발그*, 설*, 타다라*, 자이리*, 고*, 포드*, 발그*, 불티*, 일나*, 설레구*, 제대로*, 엔드리스*, 그래*) 현재 우리나라에는 무려 260여종의 발기부전약이 유통되고 있다. 그야말로 명실공히 세계최고의 발기부전약 강국이 된 것이다. 또한 발기부전 치료전쟁이 시작된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발기부전 치료약제는 성분은 다르지만 작용원리는 음경혈관에 작용해서 발기관여효소인 PDE-5을 억제해서 발기부전을 치료하는 것으로 발현시간, 지속시간, 치료효과, 부작용 등의 차이가 있을수가 있다. 또한 발기부전치료약제는 혈관계열의 부작용이 모두 나타날 수 있으므로 부작용 또한 그냥 넘어갈 정도가 아니다. 그럼에도 엄청난 약의 발기부전약과 비교적 저렴하게 구입할수 있는 발기부전 치료약제들의 시판으로 마치 발기부전약이 그냥 쉽게 복용하는 정력제처럼 여겨지고 있고, 발기부전이 없는 환자들도 더 강하게 성관계를 가질 목적으로 처방을 요구하는 경우도 많고, 실제 발기부전이 있는 환자들은 비용에 대한 부담이 없으므로 본인의 생활습관은 전혀 개선없이 그야말로 평생 발기부전약을 처방받는 환자들도 많이 있다. 오래기간을 발기부전치료에 매진하고 있고, 발기부전치료의 시작은 교정가능한 생활습관을 변경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열정을 가지고 발기부전의 근본을 치료하고자 노력하는 비뇨기과 전문의인 저자는 오늘부터 “비뇨기과 의사의 발기부전 최고 치료기”라는 칼럼을 시작해서 발기부전에 대한 정확한 내용을 전하고 치료의 모든 확실한 방법과 저자의 오랜 치료비법까지 모두 공개하고자 한다.이러한 “발기부전 최고 치료기 공개”를 통해서 260여종의 너무나 쉽게 구입이 가능한 발기부전치료약이 절대 정력제가 아니고, 엄격한 기준에 의해서 처방이 되어야 하는 비뇨기과의 전문약제라는 사실을 알리고자 한다. 이렇게 저렴한 발기부전약이 쏟아지는 현재에도 우리나라의 비아그라의 밀수량이 최고수준이라는 사실에 새삼 경악을 금하지 못하면서, 대한민국 남성들이 발기부전에 대한 모든 정확한 내용을 알게 되어서 발기부전이 있음에도 비뇨기과 내원을 꺼리는 문화적, 사회관습적인 모든 잘못된 발기부전 치료방식을 모두 바꾸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발기부전 최고 치료기 (1). 현재 우리나라는 무려 260여종의 발기부전치료약제가 시판중으로 세계최고의 발기부전치료강국이 되었다. 발기부전치료제는 절대 정력제가 아니고, 일정기간 치료후에는 생활습관의 개선으로 극복해야하는 질환이라는 사실과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비뇨기과 전문의에 의한 치료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반드시 알리고자 한다!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1 19:38:14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