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을 앞두고 영천을 비롯 경주 포항 등지에서 경북도청 제2청사 유치문제가 이슈로 부각하고 있다.영천지역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경북도청 제2청사 영천 유치 움직임(본보 1월6일자 1면보도)이 가속화 되고 있는 가운데 경주시도 ‘경북도청 제2청사 동남권 유치 경주위원회’ 발대식을 갖는 등 유치전이 불붙고 있다.
경주시는 지난 21일 경주시청에서 ‘경북도청 제2청사 동남권유치 경주위원회’ 발대식을 갖고, 범시민연대를 구성해 다음달부터 포항, 영천, 청도, 영덕 등 지역별 순회 공청회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앞서 영천지역 시민단체는 경북도청 제2청사 유치를 위한 대책회의를 열고 포럼 개최에 나서는 등 대 시민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영천지역 시민단체는 경주, 포항 등 동남권 도시와 연대를 모색하는 한편 경북도청 제2청사 위치로 경주와 포항 인접지역인 고경면 칠전리 일대와 사업추진 도중에 공사가 중단된 가운데 일부 기반시설이 완성된 고경일반산업단지 일대 등을 후보지로 제안하는 등 본격적인 행동에 들어갔다. 이처럼 도청 제2청사 유치운동이 시민들로부터 관심이 모아지면서 이번 총선 예비후보자들도 주요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
정희수 국회의원은 21일 총선출마를 위한 기자회견에서 경북도청 제2청 유치는 4선의원이 추진하면 가능하다며 제2도청유치 공약을 내걸었다.
최기문·이만희 김경원 예비후보도 경북도청 제2청사 유치를 공약으로 내거는 등 이번 총선의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경북도는 다음달 안동예천 신청사로 도청을 이전하게 된다. 경북도청이 이전되면 포항, 영덕, 울진, 경주와 영천, 경산 등 지역 주민들의 접근성이 크게 떨어져 경북동남권 주민들의 상대적인 박탈감에 따른 불만이 가중 될 전망이다.
시민단체는 “제2도청 영천유치 움직임이 이렇게 들끓고 있는데도 영천시와 시의회가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한편 경북도가 동해안발전정책과 등 4개 실·과 62명이 근무하는 ‘동해안발전본부’를 장기적으로 제2청사로 격상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경북도청 관계자는 제2청사 성격은 아니며, 제2청사 부분은 장기과제라고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