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도청 유치에 시민단체가 나서고 있는데 행정기관은 왜 팔짱만 끼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25일 영천지역 시민사회단체 연대회의가 열린 채널경북 별관 강당에서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경북도청 제2청사 유치에 행정기관이 무관심하고 있다는 사실에 잔뜩 불만스런 표정으로 내뱉었다.
영천지역 사회단체가 경북도청 제2청사 유치운동을 위해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논의하는 가운데 최근 경주에서 경북도청 제2청사 유치를 위한 발대식이 열렸다는 소식도 있다.
이날 토론에서 한 참석자는 지자체들끼리 자기들 집단 이기주의로 파이를 서로 나눠먹는 식이 아니라 인근 지역과 함께 같은 동남권 발전이라는 대의 속에서 아우르는 쪽으로 추진할 충분한 설득력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꼭 영천유치라기 보다 이 문제를 통해 영천시를 포함한 광역권의 공공적인 분야에 관심을 고취시키는 계기가 되는 것의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또 다른 참석자는, 포항은 환동해권 발전본부를 흥해 지역에 설치한 후 제2청사로 격상시키려는 움직임이고, 경주에서는 안강지역을 후보지로 선정하고 영천시민들을 설득할 계획이라고 한다.영천지역 시민단체의 이같은 움직임에 행정기관이나 시의회의 움직임은 찾아볼 수 없어 안타까운 심정이다.
총선출마 예비후보자 공통공약 ‘이슈’지역시민단체, 도의원 시의원 초청 대책 촉구키로
이날 토론회에서 한 관계자는 최대한 빠른 시간에 지역 2명의 도의원과 시의원을 초청해 이 문제의 진행상황을 알아보고 구체적인 추진 방안을 도출하자는 의견도 제시됐다고 한다.
도청 제2청사 유치운동이 급물살을 타면서 이번 총선에 출마하는 예비후보자의 공통 공약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도청이 안동 예천으로 이전할 경우 동남부권 150만 주민 행정편의를 외면 할 수 없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어떤 이유에서도 주민 편의를 앞설 수 없다. 경북지역은 다른 도시에 비해 도시권역이 하나가 더 많다고 한다. 크게 보면 경북권 하나이지만 안동권, 대구권, 경포권으로 나뉜다고 할 수 있다.동남부 권에는 포항 인구가 53만, 경주 26만명, 경산 25만6천명, 영천 10만600명, 청도 4만5천명, 울릉, 영덕, 울진까지 포함하면 150만여명이 인구가 밀집돼 있다. 문제는 동남부권 주민이 민원 해결위해 경북도청이 소재한 예천·안동지역까지 가야 한다는 점이다.
경북도청 제2청사는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지난 선거를 앞두고 추진한 공약 사항이다. 사태를 키우기 전에 경북도와 경북도의회가 도청 제2청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