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안녕 지역 발전 두루두루 굽어살피소서" “설은 나가서 쇠어도 보름은 집에서 쇠어야 한다”라는 속담이 있다. 객지에 나간 사람이 설에 부득이 집에 돌아오지 못하더라도 보름에는 꼭 돌아와야 한다는 뜻이다. 이렇듯 설은 새해가 시작하는 때이므로 출타를 한 사람도 집으로 돌아와 가족과 함께 지내고 조상에게 예(禮)를 다하고 이웃에게 인사를 다녀야 한다. 부득이 올수 없는 사정이라며 보름의 여유를 두고 정월 대보름에는 집에 돌아가야 한다고 해서 우리 조상들은 설 명절 만큼 큰 명절로 여겨왔다. 또 정월 대보름은 일년 중 농사 풍년을 소망하고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로, 보름을 지나면 본격적으로 농사짓기가 시작된다. 그래서 정월 대보름이면 마을 공동의 기원인 풍년 기원제를 올리고 있다. 현재도 지역마다 주민들과 지역의 발전을 기원하며 정월 대보름 행사가 제각각 열리고 있다. -정월대보름 세시풍속“부럼 깨자, 부럼 깨자, 부럼 깨자” 정월 대보름날 이른 아침에 한 해 동안의 각종 부스럼을 예방하고 이[齒]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 호두·은행·잣 등 견과류를 어금니로 깨무는 풍속이 ‘부럼 깨기’다. 그래서 아직 잠도 덜 깬 아이의 입에 견과류를 물게 하고 부럼을 깨게 하는 엄마들의 마음이 있었다.귀밝이술은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데우지 않은 찬 술을 마시면 정신이 나고, 그 해 귓병이 생기지 않으며, 귀가 더 밝아진다.”, “한 해 동안 기쁜 소식을 듣게 된다.”고 해서 생겨 난 풍속이다.한국 전통의 찹쌀·차조·붉은팥·찰수수·검은콩 등을 섞어 5가지 곡식으로 지은 오곡밥에 갖가지 나물들을 삶아서 기름에 볶아 먹었다. “내 더위 사가라”, 더위 먹지 않고 여름을 무사히 보내기 위해 보름날 이른 아침 만나는 사람에게 “내 더위 사가라”고 말하는 것이 더위 팔기다. 농사가 잘되고 마을이 평안하기를 기원하며 마을 사람들이 모여 ‘지신(地神)밟기’, ‘차전(車戰)놀이’ 등을 벌이고, 한 해의 나쁜 액을 멀리 보내는 의미로 연줄을 끊어 하늘에 연을 날려 보낸다. 저녁에 대보름달이 솟아오르면 횃불을 땅에 꽂고 합장하여 저마다 소원을 빌고 논이나 밭의 두렁에 불을 질러 잡귀와 해충을 쫓는 ‘쥐불놀이’를 한다. 정월대보름날 밤의 최고 절정은 달집태우기다. 달이 떠오를 때 생솔가지 등을 쌓아올린 무더기에 불을 질러 태우며 한해 액운을 쫓고 소원을 비는 세시풍속이다. -정월대보름 얼싸! 영천한마당(영천강변공원) 영천청년연합회(회장 김일용) 주관으로 영천시 정월대보름 행사가 22일 영천강변공원에서 열렸다.이번 정월대보름행사는 영천 전통 민속놀이인 영천곳나무싸움과 명주농악을 시작으로 아리랑태무, 영천아리랑 등 공연과, 연날리기, 팽이치기, 떡메치기, 쥐불놀이 등 민속놀이 체험 행사로 다채롭게 준비됐다. 올해로서 9년째 이어져오고 있는 이번 행사는 읍면동 청년회와 시 연합회에서 준비한 윷놀이, 소원지 쓰기, 연날리기 등 다양한 전통놀이를 체험했다. 또 소원성취를 기원하는 달집태우기 행사를 통해 영천시에서 추진중인 각종 사업의 안정적 전개와 마무리로 영천 도약의 원년을 알리고 시민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했다. 특히 이날 퍼포먼스로 진행된 ‘나라사랑 대형 태극기 만들기’ 퍼포먼스는 삼일절을 앞두고 방학중인 학생들에게 나라사랑의 정신을 심어주기에 충분했다. 김영석 영천시장은 “새해 첫 영천시민 화합마당에 많은 시민들이 참여해 함께 전통문화를 즐기고, 풍년농사와 시민 개개인의 소원과 비상하는 영천의 꿈을 이룰 수 있게 기원하는 한마당 큰잔치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풍년농사 기원제 및 달집태우기(신녕천변) 신녕면민 하나되고, 풍년농사 되소서! 신녕면 농촌지도자회와 농업경영인회 주관으로 22일 신녕천변에서 주민화합과 풍요를 기원하는 ‘2016 풍년농사 기원제 및 달집태우기’행사가 열렸다. 한해 동안의 주민안녕과 지역발전을 기원하는 이번 행사에는 500여명의 신녕 주민들이 참석해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로 축제의 장이 되었다. 한지에 정성껏 소원을 적어 달집에 매다는 소원지달기, 풍년을 점치는 줄다리기, 사물놀이 풍물공연, 지신밟기, 보름음식 제공 등 그 어느 때보다 풍성하고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오후 6시경 진행된 달집태우기는 풍년과 화합을 비는 기원제를 시작으로 주민들과 함께 소원이 달린 거대한 달집을 태우며 절정을 이루었다. 하해원 농촌지도자회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전통문화를 되살리고, 주민행복과 풍년농사를 기원하면서 신녕면이 올 한 해 더욱 발전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문외동을 든든히 지키는 회화나무. 영천시 문외동 주민들이 매년 주민들의 민간신앙으로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며 동제를 지내고 있다. 정월대보름 하루 전인 21일(음력 1월 14일) 오후 8시. 영천시 문외동 주민들이 옛 석수탕옆에 소재한 450여년 된 당수나무 아래에서 마을 평안을 기원하는 동제를 지냈다. 올들어 36년째 이어온 이날 동제에는 축관 정동순, 초헌관 김수기, 아헌관 정수복, 삼헌관 윤상영 씨로 분향강신, 참신, 헌작독축 순으로 진행됐다. 동제는 마을의 무사를 기원한 후에 각 세대주의 이름이 적힌 종이를 태우는 소지를 올리면서 소원이 성취되기를 빌었다. 동제 의식이 끝나고 음복을 하면서 동네의 중요한 일들을 상의한다. 이날 동제를 마친 후 음식은 문내·외 경로당, 창구경로당 노인들에게 나누어 드린다. -정수복 문외동 동제 추진위원장“회화나무가 막걸리를 좋아하나 봐요. 막걸리를 주면 나무가 아주 좋아요”막걸리를 좋아하는 회화나무를 위해 매년 몇 말통을 대접하고 있다는 정수복(80) 문외동 동제 추진위원장은 동제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다. 정 추진위원장이 동제를 맡아 추진해 온지도 36년. 1980년부터 시작됐다. 그전 10여년은 동제를 지내는 행사에 잦은 심부름을 하면서 참여를 한 것이 벌써 50년이 되어 간다. 정월 대보름 마을의 무사 안녕을 기원하면서 마을의 어르신들과 대표들이 참여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예전에는 정월 대보름 전날 즉 작은 대보름 자시(12시)에 동제를 지냈지만 세월이 흐르고 사람들이 바뀌면서 시간이 조금씩 당겨졌다. 올해 동제에는 30여명의 기관단체장, 통장, 주민들이 참여해 동제를 지냈다.정수복 추진위원장은 “1975년 대구~포항간 산업도로개설 시 도로변에 뻗어 나온 회화나무 가지를 자른 목수가 화를 입자 이 나무를 보호하고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게 됐다”며 처음 동제를 지내게 된 배경에 대해 들려주었다. “처음 동제를 지낼때는 마을 20여명의 통장들이 십시일반 성금을 모아 지냈는데 해를 거듭할수록 힘이 들어 10여년 전에는 3~4년간 맥이 끊어질 상황에 부딪혔다”며 “그 당시에는 몇몇 사람들을 불러 모아 어쩔 수 없이 술 한잔에 깃발만 꼽고 지냈다”며 그 당시의 안타까운 상황을 설명했다.“때마침 지역 시의원의 도움으로 7년전부터는 시에서 조금의 지원을 받아 맥을 이어가고 있는 실정인데 앞으로가 더 걱정”이라며 말끝을 흐렸다. 지금은 마을의 어르신들이 건재하고 관심을 가지는 몇몇 사람들이 동제가 있을 때 마다 묵묵히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있어 다행이긴 하지만 동제가 더 발전되려면 앞으로는 젊은 세대가 주축이 되어 맥을 이어갔으면 한다는 바람을 드러냈다. 정 위원장은 “이제 필요한 것은 이 동제의 맥을 어떻게 이어갈 것인가가 제일 중요한 문제”라며 “내가 아직 힘이 남아 있을 때 후계를 정해 모든 것을 물려주고 앞으로도 든든히 맥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7-02 12:19:43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