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마시는 찻잔을 오롯이 내가 만든다.”
문경전통찻사발축제장에 가면 관광객이 직접 그릇 만드는 사기장이 돼 흙을 채취하는 것부터 성형과 가마에 불을 지피는 것 까지 찻사발을 만드는 모든 과정을 하루에 체험할 수 있다.
2016 문경전통찻사발축제는 오는 4월 30일부터 5월 8일까지 9일간 풍광 수려한 문경새재 오픈세트장에서 화려하고 다양한 내용으로 펼쳐진다. 5년 연속 대한민국 최우수축제로 품격을 인정받고 있는 문경전통찻사발축제는 해마다 변신과 발전을 꾀하면서 전통문화와 재미를 접목시켜 관광객들을 유혹하고 있다.
특히 개막식에서 초청가수 공연을 없애는 등 비용을 아끼면서도 실속있는 행사가 되도록 공을 들였다. 올해는 중국의 대표적 도예 도시인 이싱(宜興)시의 도예가와 일본에서 조선 도자기의 맥을 잇고 있는 심수관 도예가를 초청해 한·중·일 세 나라의 도자기를 비교해 보는 국제교류전이 새로 마련된다.자사라는 흙으로 만든 찻주전자인 자사호의 생산지 이싱시는 중국 도자기의 수도로 불릴 만큼 10만명이 넘는 사람이 도자기 생산에 종사하고 있는 세계적인 도예의 고장이다.
1598년 정유재란때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의 사기장 심당길의 후예들이 맥을 이어 오고 있는 심수관 가(家)는 일본 도자기의 대명사가 될 정도로 유명하며 이번 축제에 15대 심수관이 참여한다.찻사발과 따로 생각할 수 없는 것이 차(茶)로 ‘아름다운 찻자리’, 고려시대 차 겨루기를 재현한 ‘가루차 투다 경연대회’, 일본의 우라센케 다도와 중국의 오운화차 다예표연(五韻花茶 茶藝表演), 한국의 다례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한·중·일 다례시연’등 찻사발과 차의 만남도 지난해 보다 풍성해졌다.전통가마의 특성상 대량생산이 어려워 다소 비싼 편인 문경도자기를 축제기간에는 쉽게 구입하도록 기획전도 열리며 경매를 통해 행운을 얻을 수 있는 기회도 준비돼 있다.
이번 축제에는 문경지역 전통 도예가 38명이 참가해 그동안 정성들여 빚어낸 작품들을 선보인다. 전문 감정위원의 예리한 시선으로 우리 고미술품의 진가를 확인하는 국내 유일의 고미술 감정 프로그램, 20년 역사의 TV쇼 진품명품이 5월 3일 문경전통찻사발축제를 찾아온다.
유료 입장으로 진행되는 문경전통찻사발축제의 입장료는 성인 기준 5천원이지만 실제 부담은 그리 많지 않다. 입장권을 사면 상평통보 형태로 만들어진 2천원 상당의 축제장 전용 엽전을 지급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