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백골이 진토 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조선왕조의 개국과정에서 반대파의 주장을 대변하였던 포은선생의《단심가》가 개국 후 신하의 충성심을 나타내는 노래로 널리 퍼진 것은 조선왕조가 내세운 유교적 지배질서와 부합하는 내용이었기 때문이 아닐까?
고려말 정몽주(鄭夢周1337~1392)는 영천 우항리에서 부친 성균관복응재생 정운관, 어머니 영천이씨 사이에서 태어나 온화하면서도 배려깊은 성격, 명분을 중히 여긴 올곧은 성격의 소유자로 충, 효, 인, 의로 일관되게 살다간 대학자이며 과거에 세차례나 장원급제할 만큼 천재로, 당시 어지러운 국정을 바로 잡으려는 정치가로, 왜·원·명나라에 사신으로 교섭에 있어 우호적인관계로 뛰어난 외교적 수완으로 명성을 떨친 외교관이며, 성리학의 태두로 불리는 스승 이색으로부터 동방이학지조(東邦理學之祖)라는 찬사를 받을 만큼 성리학의 으뜸가는 학자였다. 부친이 돌아가시자 3년 여묘살이를 하여 효자정려를 하사받아 생려효자가 되었다.
부패한 고려를 개혁해야 한다는 생각은 이성계나 정도전과 같이해, 왕이 부덕하여 민심을 잃으면 왕을 폐할 수도 있다는 역성혁명(易姓革命)의 급진적인 성향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고려왕조를 없애고 이성계를 새로운 왕으로 세우려는 반역엔 반기를 들었다. 신권은 충(忠)으로부터 출발한다는 순수한 유교정신이 고려왕조만은 지켜야 한다는 게 정몽주의 신념이었다.
그의 신념은 격정의 시기에 새로운 나라를 만들려는 자들의 걸림돌로 태조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에 의해 처참하게 제거되어 역사의 회용돌이 속에 묻혔다. 그러나 그의 충절은 선죽교에 흘린 피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다는 전설로 남았고, 그의 학문과 이념은 조선의 사림파(士林派)에게로 이어졌다. 성리학의 지조로 추앙되었던 만큼 학문적 업적은 지대하며 포은집이 전한다. 그의 학통도 길재를 거쳐 조선조 김숙자-김종직-김굉필-조광조로 계승되어 퇴계이황. 남명조식, 율곡이이 등으로 면면히 흘려 오늘에 이른다.
1554년 영천 임고면에 선비 노수, 정윤량, 김응생, 정거 등이 정몽주의 뜻을 이어 임고서원을 지었으며 명종이 편액을 내려 사액서원이 되었으며, 전국에 20여개의 원사에 제향 되고 있다. 또한 문묘에 종사 되었다. 그가 죽은 뒤 13년이 지난 1405년 태종 이방원은 그를 영의정에 추증하고 익양부원군에 추봉했으며, 문충(文忠)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태조 이방원에 의해 죽임을 당해 역적으로 효수되고 또한 그로 인해 다시 만국의 충신으로 추앙받는 아이러니한 정치, 조선은 정몽주의 충절을 그들의 명분 없이 찬탈한 조선의 왕권에 힘을 실어주고 새 나라의 기틀을 다지기 위해 정몽주와 같은 만고의 충신이 필요했으리라.
영천에는 포은 정몽주 선생의 충효를 기려 이름 지은 포은초등학교와 포은 고등학교가 있다. 자라나는 영천의 미래들이 포은이 태어난 곳 영천을 자랑스러워하며 그를 본받으려한다.뛰어난 정치가이자 외교관이며 유학자, 격동의 한 시대를 살다간 고려 충신 정몽주. 그가 허망한 죽임을 당하지 않고 그의 정치적 리더쉽으로 계속 흘러 왔다면 세계글로벌시대 우리 한국의 위상은 지금 어떤 모습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