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일제강점기 피해자 전국유족연합회원 100명이 9일 영천 대구경제자유구역청 소재 다이셀 영천공장 옆에서 집회를 재개 했다. 이들 단체는 앞서 지난 2일에도 다이셀 영천공장 앞에서 강제 노역과 관련, 사죄와 보상을 요구하는 집회를 가졌다.
이들은 “강제징용노예삼은 다이셀은 배상하라”고 외치며 사과와 배상을 촉구했다.(사)일제강점기피해자 전국유족연합회는 일본 전쟁범죄 기업을 상대로 사상 최대 규모의 소송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협약체결 당시  다이셀 전범기업  사실 알 수 없었다”영천시 다이셀 집회 관련, 해명자료 배포
영천시는 10일 <사>일제강점기피해자 전국유족연합회 주관 항의집회와 관련한 해명 자료를 배포했다. 시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영천시에서 다이셀을 유치할 시점인 2011년 3월부터 MOU를 체결한 같은해 11월24일에는 다이셀이 전범기업이라는 사실을 알 수 없었고 그 당시에는 참고할만한 공식적인 자료가 없었다고 밝혔다.
또 다이셀에 지원한 인센티브에 대해 지원중단 촉구와 관련, 보조금지원에 관한 법률 및 영천시보조금지원조례에 근거해 보조금으로 집행하고 사후정산을 받고 있으며 4자간 합의에 의해 인센티브를 확정하였기에 지원중단을 할 경우 계약위반 및 약속위반으로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할 가능성이 크며 그에 대한 합당한 근거가 있을 경우만 지원을 중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또 다이셀은 투자양해각서 체결후 본격적인 가동을 시작한 2012년부터 지역민 고용을 시작하여 2015년 12월말 기준 정규직 105명을 채용해 가동하고 있으며 그중 80%가 영천지역 출신으로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