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에는 충무공 이순신장군이 있었고 육지에는 권응수장군이 있었으니 그 공적을 감당할 자 없었도다...신하들이 이와 같으면 나라는 망하지 않았다.” 남공철이 지은「 영천복성비명」에 이와 같이 기록하고 있으며, 또 번암 채제공은 『충의공실기서문』에서“영남은 나라의 근본이고 영천은 영남의 요충지이다. 나라에 영남이 없으면 나라가 될 수 없으며 영남에 영천이 없으면 영남이 될 수 없다. ” 고 하여 임란시 영천복성을 하는데 있어서권응수 장군을 비롯한 이 지역민들의혼연일체가 된 충의정신과 영천지역이임란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잘 알려주는 대목이다권응수(權應銖)장군(1546~1608)은신녕현 추곡리에서 능라군 덕신과 정경부인 성주이씨의 두 아들 중 맏아들로태어났으며 본관이 안동, 자가 중평 호는 백운재이다. 어려서부터 인물됨이 대범하고 우뚝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였다. 경전과 사서에 널리 통하였고 궁마도 겸하여 문무를 겸전하였다. 선조17년(1584)별시 무과에 급제하여 이후 경상좌수사 박홍(朴泓)의 막하에 있다가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그는 이 지역에서최초로 창의 하여 1592년 5월부터 고향에서 의병 활동을 전개, 여러 곳에서 전과를 올리고, 6월에 경상좌도 병마절도사 박진(朴晋)의 휘하에 들어갔다가, 7월에 각 고을의 의병장을 규합하여 의병 대장이 되었다. 이 무렵 영천에 있던적군은 신녕·안동에 있던 적군과 연락하면서 약탈을 일삼고 있었다. 그는 대동에서 적을 격파하였고, 또 한천 전투에서 승리하여 적이 청송으로 가는 길을 차단하였으며, 7월 14일 박연(朴淵)에서 적을 공격하여 궤멸시키고, 거림원의 적을 공격하여 군위로 가는 길을끊었다. 22일에는 소계(召溪)·사천(沙川)까지 추격하여 격파하였다. 7월 25일에군사를 동원하여 공격을 시작하고, 26일에는 결사대원 5백명을 적진으로 돌격시켜 격파하고, 다음날에 총대장권응수는 의병을 ‘창의정용군’이라 칭하고 화공(火攻)을 전개하여 영천성을 수복하였다. 이리하여 군위, 의성, 비안, 예천 등의 적들이 모두 강우지역으로 숨었고, 영남좌도가 보존된 것은 권응수 장군의 힘이었음을 알 수 있다.영천성 탈환 전투의 가치를 평가한다면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주둔하고 있던 성곽을 공격해 점령한 최초의전투였으며, 일부 임진왜란 연구자들은 이 전투를 “ 임진왜란 지상전 최초의 승리”라고 평가하기도 하는 역사적인 승리였다.만년에는 정사를 귀수 위에다 짓고생도들을 교육하였으며 산수와 문적을 즐겼는데 임금께서 이 사실을 듣고“무공을 세우고 학문의 가르침을 밝혔다. ” 하면서 『심경』과 『좌전』『 대학』,『소학』 등을 하사했다.권응수 장군의 묘소는 영천시 청통면 애련리(愛蓮里)에 있으며, 숭정대부의정부 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좌찬성에추증되었으며, 신령의 경덕사(敬德祠)에 제향되어 충의(忠毅)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현재『 백운재실기(白雲齋實紀)』가 남아있다.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에구천서원(龜川書院)과 어사영각(御賜影閣)이 있으며, 그의 유물은 보물 668호로 지정되어 현재 국립진주박물관에 위탁 관리되고 있다. 그가 사용한 장검과교지 유서 등이 남아 있으며 공신 책봉과 관련된 선무2등공신교지, 태평회맹도병풍, 용연, 영정 등이 남아 있다.임란 후, 예나 지금이나 공적을 시샘하는 무리들에 의해 무고로 옥살이도하였지만 그의 혁혁한 공적은 주머니속에 송곳과 같이 언제나 드러나 만고에 빛을 발한다.영천성 수복 후 몇 백년이 지난 현재의 영천의 성곽은 아직도 소박하나마역사적 흔적을 간직하고 있지만, 거의훼손된 성곽이 역사적 가치가 있는 우리문화유산으로 복원되길 기대해 본다.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2 19:35:31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