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래시장에 가면 없는 것이 없다라는 말을 흔히 한다. 그만큼 많은 가게에 물건이 있다는 말이다. 재래시장은 뭐니뭐니 해도 흥정과 덤으로 인정이 넘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마트처럼 가격표를 붙여 놓고 흥정조차 해 보지도 못하고 가격표 만큼 대금을 지불해야 하는 삭막함 보다는 뭔가 하나 더 끼워주는 그 덤 때문에 재래시장을 찾는 것 같다. 시장 자체가 밖으로 노출되어 있어 더운 여름에는 더워서 추운 겨울에는 추워서 재래시장을 등한시 하지는 않았는지... 더위에 땀을 흘리는 상인들과 추위에 하얀 입김을 내뿜는 손님들이 한데 어울려 시장을 형성하는 것이 아닐까?영천지역 5일장에는 영천공설시장, 금호공설시장, 신녕공설시장 등 3개의 재래시장이 있다. 추석 명절이 코앞이다. 아직 공설시장에 들어가면 미로 같아 찾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그중 제일 큰 규모를 자랑하는 영천공설시장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영천공설시장(2·7일)>영천시 완산동에 위치한 영천공설시장은 부지 면적은 1만 1860㎡이며 4개 지구 180여개 점포로 구성되어 있다. 각 지구별 곡물전, 수육 골목, 건어물, 포목, 건어물, 음식점, 어물전과 의류 등의 점포로 되어있다. 5일장은 시장 주변 도로에서 열리며 지역의 각종 농수산물, 특산품 및 한약재 행상이 몰려든다.-1지구(곡물전, 횟집, 방앗간 등)1지구는 문화마루, 영포상회, 수영고추상회, 광복옷수선, 고향횟집, 충무곡물, 일호곡물, 청통상회, 태흥상회, 조은식품, 흥농방앗간, 영화식품, 영천잡곡상회, 영천비니루종묘사, 영진천막사, 시골반찬, 망정집, 영남건업, 신신종묘사, 진양지업사, 진아옷수선, 수정세탁, 큰엄마패션, 세원상회, 매곡상회, 동명상회, 범표신발, 영포상회, 도림상회, 금성상회, 옛날오곡상회, 박씨곡물, 도종은곡물, 태복상회, 미정상회, 동훈상회, 보성상회, 청도상회, 경인상회, 양푼비빔밥, 동진식당, 동해횟집, 후포횟집, 시장횟집, 희망식당, 승민상회, 신용참기름, 동신참기름 등 48개 점포가 있다.-2지구(곰탕, 반찬 등)2지구는 황금식당, 작은영남, 민속떡집, 영천민물, 원화이불, 최옥선철학관, 김순국,대영지업사, 수동만물상회, 만물상회, 시장불교서점, 부산포목, 경주포목, 화성포목, 서울포목, 상전죽집, 장안보리밥, 부흥수퍼, 덕동상회, 길성상회, 신우상회, 삼봉식당, 유진식당, 길손식당, 산성식당, 포항식당, 진미반찬, 할매김치, 영남고추방앗간, 중앙방앗간, 갑산방앗간, 시장식품 등 32개 점포가 있다.-3지구(건어물, 떡집, 분식 등)3지구는 대용인삼사, 대영한우곰탕, 미미칼국수, 신선상회, 덕신수퍼, 할매묵집,시장과일, 영천식품, 안성제과, 시장제과, 송학식품, 유정전집, 풍년농기구, 세일신발, 신녕식당, 보리분식, 유하식당, 종일분식, 대영분식, 선미분식, 새승리식당, 지혜식당, 시골식당, 한우고기, 강릉상회, 울산상회, 성남상회, 염매식품, 0/1000종합, 영천상회, 월성건어물, 백년떡집, 서울떡접, 시장떡집, 화산떡집, 북안반찬, 사계절채소, 남양식품, 반찬백화점, 형제식품, 현대닭집등 41개의 점포로 형성되어 있다.-4지구(신발, 의류, 포목 등)4지구는 정환상회, 진헤어라인, 청춘왕만두, 대백옷수선, 둥지패션, 동양양행, 선우세탁, 알뜰수선, 금비, 대구상회, 서울양장패션, 미성상회, 반도양행, 유성양행, 장성상회, 덕성상회, 장띠패션, 용진상회, 유진상회, 황금신발, 동진신발, 초량상회, 승진신발, 정화신발, 중앙신발, 오천상회, 영덕신발, 영천불교서점, 용산포목, 도동상회 등 30개 점포가 있다.-어물지구(돔배기 등 생선류)어물지구에는 고은수산, 양포문어, 포항수산, 엄씨닭집, 보현수산, 고경수산, 제일수산, 고경식육점, 시민식육점, 참가자미함매집, 해물전문집, 윤씨어물, 철희어물, 영천수산, 만물수산, 청통어물, 인성수산, 북안어물, 최종대어물, 최씨어물, 대구수산, 녹전어물, 희재어물, 대승수산, 경북수산, 추씨어물, 성주수산, 한일닭집, 서울닭집등 29개 점포가 영업중이다.영천공설시장은 영천 큰 장이라 하여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곡물류와 함께 돔배기, 한약재 등 전국적으로 명성이 높은 특산품을 거래하는 경상도 최대 농산물 교역시장으로 손꼽힌다. 상설 시장과 정기 시장을 겸하고 있으며, 특히 돔배기를 취급하는 어물전과 한약재 시장은 전국적으로 유명하다.조선 후기 영천시 창구동 조양각(朝陽閣) 앞에서 매월 2일과 7일 열리는 오일장으로 개설했다. 원래는 읍장(邑場)으로 불리어오다가 일제 강점기 영천장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55년 5월 영천시 완산동 현재의 자리로 옮겨 시설 현대화 사업을 완료했다.또 장날이 되면 상설 점포와 맞먹는 200여난전이 시장 주변에 형성되며 영동교 남쪽둔치에 마련된 부지에서 화물차 소유 상인들을 중심으로 농산물이 거래되고 있어 시장의 규모가 더 확대되고 있다항상 고객을 생각하는 마음으로…  - 김영우 영천공설시장상인회장“이제는 영천공설시장이 많이 활성화 됐다고 생각한다”며 “영천공설시장이 이만큼 활성화 될 수 있었던 것은 시장 상인들의 힘이 제일 크다”고 말하는 김영우 영천공설시장상인회장.김 회장은 영천공설시장이 방송이나 신문 등 공중파나 지방언론으로 소개되면서 시장에서 유명한 돔배기, 곰탕거리 등에 관광객들이 많이 몰리고 있다고 말한다.영천 돔배기는 전국 어디에서도 알아주는 명물로 경상도 지방에서는 돔배기 없이 제례를 지내지 않을정도로 영천돔배기가 유명해 진 것.“돔배기나 곰탕거리 등이 유명해지는 것은 모두 상인들의 노력으로 만들어낸 것”이라며 “이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의 비빔밥, 수육, 분식, 건어물 등 전통성을 이어가고 있어 손님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고 있다”고 자랑했다.김영우 회장은 “시대적 변화와 인터넷의 발달은 유통환경의 변화를 가져오고 그에 따라 상인들의 삶의터전인 시장의 경쟁력이 뒤떨어지는 것은 시대적 상황”이라며 “상인들의 땀과 열정으로 경쟁에서 밀려나가는 재래시장을 다시 도약할 수 있었던 것은 서로의 작은 힘을 결집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체계적으로 전개해 나갔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추석을 앞둔 영천공설시장은 고객 그랜드세일, 고객 이벤트, 지역 기관과 단체에서 추진하는 추석 장보기 행사, 온누리상품권 등 다양한 활성화 방법들을 동원하고 있다.또 영천공설시장 상인교육장으로 사용되고 있는 만남의 광장을 지역의 크고 작은 행사에 무료로 대여를 하거나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김영우 영천공설시장상인회장은 “현대화사업으로 인해 조성된 모든 시설들이 시간의 흐름을 타고 노후화 되어 보기 싫을 정도로 변해가고 있다.”며 “깨끗한 공설시장 분위기 조성을 위해 관계기관의 많은관심이 필요할 때”라고 강조했다.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2 00:47:07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