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숲 한가운데썩은 나무 하나 서 있다孤高하게 살았던 생이비명도 없이 서 있는 것은숲을 뒤척이다울음을 삼켜버린 저 새들 탓이리낙엽 지는 숲을 바라보는 저 사내소리 없이 서 있는 것은썩어도 넘어지지 않는 저 나무 탓이리 ※ 시 감상새들 탓이라고 쓴다. 나무 때문이 아니라 나무 탓이라고 쓴다. 왜 ‘때문이다‘라고 쓰지 않고 굳이 ’탓이다‘라고 쓰고 있을까? 때문과는 달리 탓이란 부정적 현상에 대한 원인과 까닭, 즉 원망을 지시하는 낱말이다. 시인은 지금 나무를 탓하고 원망하고 있는 것, 저 사내의 외로운 뒷모습을 안쓰러워 하고 있는 것이다. 포유류 동물의 털 빛깔을 닮은 가을 숲, 잠들고 싶은 그곳을 꼿꼿하게 지켜보기란 얼마나 힘든 일이겠는가. 차라리 형벌이 아니겠는가.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4 08:46:45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