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이 발전하려면 지역민과 조직과의 다소 여유로운 연결력이 필요하며, 나아가 조직과 지역민들 간의 의사소통 기반을 공고히 다지기 위한 효과적인 플랫폼이 구축되어야 한다. 효과적인 플랫폼이 구축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기본요소를 바탕으로 면밀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번 호에서는 연결력, 효과적인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과 플랫폼의 설계를 위한 몇 가지 기본요소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발전하려면 지역민과 조직의 약간의 여유로운 연결력이 필요
영천이 발전하려면 지역민과 조직을 연결하는 여유로운 연결력이 있어야 한다. 여기에서 ‘여유로운’이라는 말을 사용한 것은 그 연결력이 너무 강해도, 반대로 너무 약해도 안 되며 약간은 느슨한 편이 바람직하다는 말이다. 특정 현안에 관련하여 지역민과 조직의 관계자가 매일 만나서 의사소통을 한다면 이는 연결력이 매우 강하다고 할 수 있다.반대로 평소에 거의 연락을 취하지 않고 일 년에 서너 번 만나서 서로 의사소통을 한다면 이는 연결력이 매우 약하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조직론연구에서는 연결력이 매우 강하거나 반대로 매우 약하면 문제 해결을 위한 양질의 지식이나 정보가 나올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연결력이 너무 강하지도 않고 너무 느슨하지도 않은, 약간의 여유가 있을 때, 문제 해결의 힘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영천 발전을 논의할 때는 이점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효과적인 플랫폼의 설계지역 개발을 위한 그다음 단계로는 제54호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효과적인 플랫폼을 설계하는 것이다. 효과적인 플랫폼이란 지역 개발에 관련한 지역민들간의 의사소통 기반과 조직을 만들어 가기 위해 필요한 구조와 제도를 말한다.최근에 들어 자율성이 많은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는데, 플랫폼 역시 자율적이고 분산적이고 협조적으로 운영되어야하며, 그렇게 운영될 경우, 지역 개발-자원화 과정-지역민과 조직의 연결력이 유기적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만약 시정(조직)이 기획한 것을 지역민들에게 명령, 관리, 통제하는 구조 속에서 플랫폼이 구축되고 그러한 플랫폼을 토대로 지역 개발이 추진된다면, 앞으로 창의적이고 지속 가능한 지역 개발이 이루어지기가 더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자율적이고 분산적이고 협조적으로 플랫폼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최근 유행하는 SNS, 인터넷, 스마트모바일을 최대한 이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효과적인 플랫폼 설계를 위한 몇 가지 기본 요소창의적이고 지속 가능한 지역 개발을 위해 효과적인 플랫폼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면 구체적으로 그것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일까? 일반적으로 플랫폼의 효과적인 설계에는 ①의사소통 패턴의 설계 ②역할의 설계 ③인센티브의 설계 ④신뢰 형성을 위한 메커니즘의 설계 ⑤참가자의 내부 변화 관리 등으로 대표되는 기본요소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 의사소통 패턴의 설계라는 말은 참가자와 조직 간의 의사소통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설계한다는 말이다. 기본적으로 이미 언급한 것처럼 조직과 참여자 간의 여유로운 연결력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내용에 따라서는 그 강도를 좀 더 강하게 혹은 좀 더 약하게 조절해야 할지도 모른다.또한 직접적인 대면을 통해서, 아니면 인터넷 메일이나 SNS, 모바일이나 전화, 화상회의를 통해서, 아니면 이 모든 것을 통해서 의사소통을 할지 말지를 항상 모색하여야 한다. 그리고 직접적인 대면의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경우, 어느 공간을 통해서 어떠한 방식으로, 어떤 분위기로 의사소통을 해나갈지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 개발에 참가하는 참가자들에게 일정한 역할을 부여함과 동시에 그 역할의 질과 양(범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예를 들어 영천을 대표하는 브랜드 농산물의 기획에 참여하는 참가자들에게 일정한 역할을 부여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역할의 범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는 연극에 참 여할 배우들에게 일정한 배역을 맡기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일정한 역할이 부여된 참가자들은 배역을 배정받아 열심히 연기하는 배우처럼, 뚜렷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브랜드 농산물 기획에 최대한 협조를 할 것이다. 셋째, 인센티브의 설계는 플랫폼의 존립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플랫폼의 존립 기반을 공고히하기 위해서는 참가자들에게 금전적인, 혹은 정신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럴 경우 참가자들의 활발한 활동을 한층 더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정신적인 인센티브란 지역 개발에 참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자부심, 주체의식, 행복감 등을 말한다.넷째, 지역 개발에 참가한 사람들 사이의 신뢰 형성을 위해서 당장 무엇을 어떻게 설계하느냐는 것이다. 예를 들어 표면적으로는 지역 개발을 주창하고 있지만, 특정한 참가자(들)에게 물질적, 정신적 인센티브가 집중한다면 지역 개발에 참가한 참가자들의 네트워크는 머지않아 와해되어 버릴 것이다. 마지막으로 참가자의 내부 변화 관리란 지역 개발에 참가하기 전과 참가한 후의 참가자들의 마음가짐이 좋지 못한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늘 유념하면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지금까지 언급한 ①의사소통 패턴의 설계 ②역할의 설계 ③인센티브의 설계 ④신뢰 형성을 위한 메커니즘의 설계 ⑤참가자의 내부 변화 관리는 별도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늘 유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그 누군가의 노력이 필요하다.다음 호에서는 효과적인 플랫폼을 구상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