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시대에도 금호강 원류지대인 영천지역에 사람이 살았다는 유적이 남아있다.영천은 옛날 골벌소국(骨伐小國)이란 부족국가로 있었으며 236년에 아음부왕(阿音夫王)이 신라 조분왕(助賁王)에게 항복하고 절야화군(切也火郡)이 되어 도동화현(道冬火縣)을 그 밑에 두었다. 그 후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임고군(臨皐郡)으로 개칭하였으며 군 밑에는 도동현(道冬縣, 도동화현을 개칭)과 임천현(臨川縣)이 있었다.신라말기에는 다시 고울부(高鬱府)라 불렀으며 고려초기에는 또다시 영주(永州)라 칭하였다. 성종(成宗)때에는 자사(刺史)를, 1383년에는 지주사(知州事)를 두었다.태종(太宗) 14년(1414)에는 영주(永州)를 오늘의 명칭인 영천군(永川郡)으로 개칭하고 지군사(知郡事)를 두었으며 세조(世祖) 12년(1467)에 비로소 군수(郡守)로 칭하였다. 1522년에는 향인(鄕人)출신 군관(軍官) 김석남ㆍ심기원(沈器遠) 등이 역모를 꾀하여 현(縣)으로 격하되었으며 10년 후인 1533년에 다시 군(郡)으로 승격되었다.1933년부터 연차적으로 5개면<내동(內東)ㆍ내서(內西)ㆍ완산(完山)ㆍ예곡(乂谷)ㆍ명산(鳴山)면>이 통합되어 영천면이 되었다가 1937년 7월 1일 영천읍으로 승격되었다.1981년 7월 1일 영천시로 승격되어 35개동을 축소 개편하여 9개동으로 되었다. 이때 개편된 동은 동부동(東部洞)<조교(早橋)ㆍ망정(望亭)ㆍ야사(也史) 1, 2동이 통합>, 중앙동(中央洞)<문내(門內)ㆍ문외(門外)ㆍ창구(倉邱)ㆍ과전(果田)동이 통합>, 교동(校洞)<교촌(校村) 1, 2동ㆍ성내(城內) 1,2동ㆍ화룡(化龍)동이 통합>, 주남동(朱南洞)<도동(道洞)ㆍ금노(金老) 1, 2,3동이 통합>, 봉작동(鳳鵲洞)<범어(泛魚)ㆍ작산(鵲山)ㆍ봉동(鳳洞)이 통합>,영도동(永都洞)<본촌(本村)ㆍ채신(采新)ㆍ괴연(槐淵)동이 통합>, 대전동(大田洞)<대전(大田) 1, 2동, 오미(五味)1, 2동이 통합>, 명산동(鳴山洞)<녹전(綠田) 1, 2, 3동, 도림(道林) 1, 2동이통합>이다.1983년 2월 15일 영천시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금호읍(琴湖邑) 도남동(道南洞)이 영천시 봉작동으로, 청통면(淸通面) 오수동(五樹洞)과 쌍계동(雙溪洞)이 영천시 교동(校洞)으로, 화산면 매산동이 영천시 명산동에 각각 편입되었다.1984년 8월 30일 시조례 제281호(1984.8.30 공포)로 시청 소재지를 완산동 1056-3번지에서 문외동 24번지로 이전했고 1986년 4월 1일 대통령령 제11874호(1986.3.27 공포)로 화북면 삼창출장소가 화산면 귀호동을 편입하여 화남면으로 승격(1읍 10면)했다.1987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12007호(1986.12.23 공포)로 임고면 언하, 신기동이 영천시에, 청통면 죽정동 일부가 경산시 와촌면에, 경산시 와촌면 계당동 일부가 금호읍에 각각 편입되었다. 군조례 제959호(1986. 2.31 공포)로 계당동 일부가 금호읍 덕성동에 통합되었고 1987년 1월 1일 시조례 제364호(1986.12.31 공포)로 언하동과 신기동이 동부동 관할구역으로 조정되었다.1988년 1월 1일 군조례 제1042호(1988.1.1 공포)로 금호읍 덕성동이 덕성1동, 덕성2동으로, 자양면 충효2동이 충효2동과 충효3동으로 행정동이 분동되었다. 1988년 5월 3일 군조례 제1046호(1988.5.3 공포)로 동을 리로 개칭하였다. 1988년 5월 30일 시조례 제437호(1988.5.30 공포)로 시청소재지가 문외동 27번지로 변경하였다.1989년 1월 1일 대통령령 제12557호(1988.12.22 공포)로 청통면 서산리를 영천시에 편입하였다. 시조례 제470호(1988.12.31 공포)로 서산리가 대전동 관할로 조정하였다. 군조례 제1092호(1988.12.31 공포)로 화북면 용계, 월곡리가 화남면에 편입되었다.1995년 1월 1일 법률 제4774호(1994.8.4 공포)로 경기도 남양주시등 33개 도농복합형태의 시설치등에 관한법률로 영천시와 영천군을 통합, 영천시를 설치했다.(1읍 10면 9동)1998년 10월 20일 영천시조례 제211호(1998.10.2 공포)로 교동과 대전동의 대전 및 서산을 통합하여 서부동으로 하고, 명산동과 대전동의 오미를 중앙동으로 편입하며, 주남동, 봉작동, 영도동을 통합하여 남부동으로 조정했다.(1읍 10면 5동)※참고문헌:영천지명유래 및 마을 변천사(영천문화원 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