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시가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행정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도시재생사업 전담 조직(현재 도시계획과 도시디자인 담당 소관)에 대한 행정조직 개편 등 전략적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 사업이 새 정부의 소득분배 차원에서 다뤄지고 100대 주요정책으로 발표되면서, 정부가 도시재생사업 대상지를 향후 5년간 총 500 곳을 지정하고 50조원의 재원을 투자 할 것이라는 정책에 따라, 인근 지자체들이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사업팀을 꾸리는 등 행정조직 개편이 잇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안동시는 도시재생전략과를 신설하고 도시재생 거점 조직으로 개편하여 지역발전 기획과 행정실무를 전담하고 있다. 또 최근 영주시와 김천시도 도시재생과 신설을 위한 행정조직 개편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 등 도시재생 전략에 전력을 쏟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영천시도 옛 도심을 문화거리로 새단장 한다는 내용으로 국토교통부의 2017년 “역사문화테마사업”에 선정돼 현재 60억원의 사업 예산을 확보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시는 내년부터 2020년 까지 4개년에 걸쳐 쇠락한 구 도심의 옛 성곽을 기준으로 서부동, 중앙동 일원의 공동체 활성화사업을 내용으로 왕평 테마 체험길, 금호강 구곡선유 투어길, 소설가 하근찬 산책길, 백신애 생활문화존, 1930년 대 근대건축물 둘레길이라는 6개 주제의 사업에 대한 도시재생사업을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영천시가 사업예산을 확보하고도 사업계획 수립에 따른 절차문제로 현재 사업추진이 답보상태에 놓여있는 등 도시재생사업이 시작부터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정책에 따른전략적 대응으로 도시재생사업에 많은 추가 예산확보가 가능하다”며 “시는 도시재생사업을 전담할 수 있는 도시재생과 신설 또는 전담팀 확대운영 등의 조직 개편을 통해 지역실정에 맞는 계획 수립과 함께 사업비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전략적 대책마련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시재생 (Urban Regeneration) 사업이란 신도시 위주의 도시확장에 따라 발생하는 도심공동
화를 극복하고 침체된 도시경제를 개선하기 위해 물리 환경적으로뿐만 아니라 산업경제적 사회문화적으로 도시를 활성화 하는 것.
최병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