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다룰 내용은 중국의 8大 요리 이야기이다. 4大 요리를 좀더 세분 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맛과 재료와 조미료의 차이에 따라 나눈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위의 지도에서 보는 것처럼 8개의 지역으로 나눈 것이다. 4大 요리에서 자세하게 다루었으니 8大 요리는 간략하게 살펴보자~~ 음식 이야기 속으로 한번 들어가보자.1. 쓰추안 차이혀가 얼얼한 매운맛인 마(麻), 라(辣)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로, 여기에 각종 향신료가 들어간 강한 맛이 특징이다. 한국 사람들의 입에 잘 맞는편인데, 다만 사용하는 식용유의 양이 좀 많은 편이다. 가난한 마씨 성을가진 할머니가 집에 오는 손님을 맞이하기 위해 모든 조미료를 동원시켜 만들었는데 그 맛이 기가 막혀 유명해진‘마포또푸(麻婆豆腐)’가 바로 대표적인 음식이다. ‘四川人不怕辣, 湖南人辣不怕, 重庆人怕不辣’라는 말이있는데, ‘사천사람들은 매운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호남사람들은 매운 게 두렵지 않고, 중경 사람들은 맵지않을까 두려워한다’라는 말이다.2. 산둥 차이산둥차이는 역사가 매우 깊은데, 송나라 때부터 북쪽 음식의 대표로 되어왔다. 산둥차이는지리적으로도수도인 베이징(北京)과 가까워서 명(明), 청(淸)대 궁중요리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전 지역의 요리사들이다 모여 다양한 재료와 조리법으로 하는, 특히 담백하고 신선한 맛이 특징이다.3. 지앙쑤 차이예로부터 부유하고, 따뜻한 지앙쑤셩(江苏省)은 유명한 요리사들을 많배출한 지역이데, 대부분이 담백하고 달콤한 맛이 강하다. 양쯔지앙 하류에 위치하고 호수가 많은 지역이라 강이나 호수에서 나오는 생선, 게,장어, 새우 등 민물고기를 재료로 쓰는 요리가 많고 재료 특유의 맛을 살리기 위해 향신료나 조미료는 많이 넣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4. 안후에이 차이안후에이(安徽) 지방은 귀한 야생동식물과 약재 생산지로 유명한 곳인데, 4大 요리에서 설명한 광동과 가까운 지역이라 각종 보양식이 발달한 것이 특징이다.5. 져 차이 져지앙(浙江) 지역 요리는 식감이 부드럽고 짠맛이 조금 강하며 담백한 맛이 특징인데, 특히 ‘동포로우(东坡肉’는 그 지역 백성들이 정치를 잘하는 소동파를 위해 만들어준 것인데, 소동파도 아주 좋아했다고 해서 요리명도 동파육으로 지어졌다.6. 민 차이푸지엔(福建) 요리는 해산물요리가 많고, 맛은 대체로 달고 짜고 시다. 푸지엔 지역은 화교를 많이 배출한 지역이데, 이 지역의 화교들이 일본으로 진출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푸지엔 요리는 일본의 중화요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일본의 나가사끼 짬뽕의 원형은 바로 푸지엔 요리에서 출발해다는 말도 있다. 7. 시앙 차이후난(湖南) 요리인데, 매콤, 새콤하고 담백한 맛이 특징이며, 쓰추안의 매운맛과는 또다른 매운 맛이다. 후난 사람들은 이런 매운 맛을 즐긴다. 쓰추안의 매운맛은 산초와 후추, 고추의 얼얼하고 매운맛인 반면, 후난의 매운맛은 고추와 마늘의 매운맛으로 깔끔한 매운맛이라고 할 수 있다. 8. 아오 차이‘중국 사람들은 책상 빼고 다리 네개인 것은 다 먹는다’라는 말이 나온것이 광동(广东) 요리 때문인데, 그만큼 요리재료가 아주 다양하다. 광동지역은 외국과 교류가 많았던 지역으로, 미국에서 자리 잡은 중화요리들은 바로 광둥 지역 요리들이 중심이된다. 다음 편에는 외국인이 좋아하는 중국 10大 요리로 시작하여 간단한 중국어회화를 한마디씩 배우면서 요리여행을 떠나고자 한다. 중국에 가게되면 이 요리들을 기억했다가 주문하면 배고픈 괴로움은 벗어나리. ^^ ※사진제공:baidu.com ※필자 카페 주소:ht t p://c a fe .naver.com/orangewo8x5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2 19:06:47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