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청도 운문댐 저수율이 크게 떨어져, 이 물을 사용하는 금호읍을 비롯 지역 수돗물 공급에 비상이 걸리면서 시민단체와 일부 시민들로부터 영천댐 주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금호읍, 대창면, 남부동 일대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는 청도운문댐 저수율이 14.9%를 기록한 가운데 가뭄이 계속 될 경우 수돗물 제한급수 등 최악의 경우 단수 위기에 처해 있다. 시는 청도 운문댐 정수 사용료로 연간 21여억원(1톤당 413원)을 지불하고, 한국수자원공사에도 영천댐 원수 사용료로 연간 27여억원(1톤당 223원)을 지불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가뭄으로 인한 물 부족 문제가 대두되면서 지역 시민단체가 한국수자원공사를 상대로 물주권 확보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희망영천시민포럼 관계자는 “수자원 개발시설이 위치해 있는 수계 상류지역 주민들의 상수원 보호구역 지정 등으로 인해 부담과 피해가 크다”며 “주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관련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단체 관계자는 “방류된 물을 취수하는 댐 소재 지방자치단체에 대해서는 원수 사용료가 면제 될 수 있도록 하는 법 개정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전국 카누대회를 유치하는 등 영천댐을 활용한 수변 스포츠 개발 등으로 관광상품 개발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또 지역에 영천댐을 두고도 영천시민들은 년간 수십억원을 주고 물을 사먹고 있는데 1980년 영천댐이 건설되면서 댐 인근 주민들은 광역상수도 보호구역(10km)으로 축산업 등 각종 개발을 하지 못해 주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보현리를 비롯 용산리와 삼귀리 등 자양면 일대 상당수 지역이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영천댐 주변에는 상수도 사용 가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시에따르면 영천댐 주변인 자양면에는 용산리 등 지하수 사용 17개소, 보현1리 황새골 등 계곡수 사용 10개소로 확인됐다. 이 때문에 지하수 사용 가구마다 석회성분이 많이 검출돼 정수기를 사용해야 하고, 여름철만 되면 물 부족으로 제한 급수를 받는 등 생활에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영천댐 인근 용산·보현리 등 지역민들의 공통적인 불편사항이다. 이 때문에 자양면 일대 주민들이 지하수 사용으로 인한 석회성분 과다 검출 등으로 요로결석 등 풍토병으로 고생하는 사례도 빈번하다는 것이다. 한편 영천시도 전국댐 소재지 시장군수 구청장 협의회를 통해 광역상수도 요금과 댐용수 사용료 감면을 위한 대책을 요구했지만 별다른 소득을 얻지 못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병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