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1세기(一世記)동안 민주주의방식의 교육제도 개혁과 체질 개선을주장해왔다.일이 제대로 되지않으면 제도를 탓하고 법(法)을 탓하는 습관이 있다.학교운영을 공동으로 책임지는 학교 운영위는 학교장을 불신하고 갈등을 해소(解消)하는 취지에서 생성(生盛)했다. 학교 운영의 비민주성이나 경직성은 제도 자체에서 온것이 아니고 운영 미숙이나 리더쉽 부족, 교육철학빈곤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이런것을 제도만 고친다고, 간판만 바꾼다고 해결될까?너무 완벽한 제도는 자기 발등을찍는 격이 될 수도 있으니 말이다.운영의 묘(妙)를 살리면 제도의 노예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일본의 제도가 우리보다 민주적일까? 아닙니다.영국은 성문헌법(成文憲法)이 없고 미국은 원래 헌법위에 더 얹는 식이고 일본 헌법은 지금껏 한번도 개정한일 없는데 우리는 벌써 10번째 지금도 헌법타령 제도적 면에서보면우리는 초(超) 선진국(先進國)이다. 그런데 왜? 민주주의나 교육제도가 뒤뚱거리고, 절룩거리는가.초심과 미래 지향적 운영에 사활(死活)을 걸어야 하는데 당리 당략,탐욕이 온전한 제도의 탄생을 가로막기 때문이다.교육 본질이 정치, 경제 논리에 훼손, 제약을 받고 있다. 정치 논리로는 갈등 해소책으로 제도개혁, 가급적 국민에게 경제적 부담이 적은 환심(歡心) 내용을 택하게 되고 선전 홍보용으로 쓰려한다. 경제 논리는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두는 것이지만 교육 투자는 회임(懷姙) 기간이 길고 정신적 영역이라 측정이 어렵기에 정책 우선순위에서 항상 밀려난다. 교육은 미성숙한 인간을 성숙한 인간으로 변화시키는겄이 교육 본질 일진데 설레임이 깃든 교육, 일 잘하는 사람 칭찬 할줄알고 정의로운 일에 나설줄 아는 용기를 생각해 보지도 않고 효율성을 조급하게 몰아가면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지도 못하고 편법, 요령, 반칙이, 판을 치게되고 결국 다수결 원리로 풀려할 것이다. 진정한 삶은 숫자가 아니고 느낌이듯이 미래 먹거리는 정신세계 교육이 좌우하기에 다수결의 문제가 아니다.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2 19:57:04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