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시가 2일 도시재생 선도지역 지정을 위한 도시재생 뉴딜사업 주민공청회를 시작으로 ‘완산동 영천공설시장~영천역 일대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첫발을 뗐다. 앞서 시는 작년 12월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 중심시가지형으로 공모사업에 선정돼 완산동일대에 2022년까지 250억 원의 사업 예산을 확보한 상태다.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도시재생을 통해 침체된 도시에 활기를 불어넣고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핵심으로, 정부가 도시재생사업 대상지를 향후 5년간 총 500 곳을 지정하고 50조원의 재원을 투자할 것이라는 정책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마다 앞다투어 예산 확보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따라서 영천시도 이같은 도시재생 업무를 전담할 수 있는 도시재생과 신설 또는 전담팀 확대운영 등의 조직 개편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실제로 안동시는 도시재생전략과를 신설하고 도시재생 거점 조직으로 개편해 지역발전 기획과 행정실무를 전담하고 있다. 또 최근 영주시와 김천시도 도시재생센터를 개소하여 행정인력을 투입하는 등 도시재생 전략에 전력을 쏟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이와관련 시민들은 사업시행 능력에 따라 엄청난 국비를 확보할 수 있는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도시활력 증진 등을 위해 전담부서 개편해야 한다는 여론이 잇따랐다. 하지만 영천시는 오는 6월말까지 한시기구로 예정된 미래전략사업국에 대한 조직개편 기회에도 도시재생과 신설 또는 전담팀 확대 운영 등은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시는 지난해 60억원의 예산을 확보햇던 중앙.서부동 일대 ‘역사문화테마사업’을 현재까지 사업추진이 답보상태로 놓아두고 있고 오히려 주민들간 갈등이 조성되는 등 처음부터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업무는 영천시 도시계획과 도시디자인 담당이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상황이다.시민들은 현재의 행정조직으로 도시재생사업이 지속될 경우 영천공설시장~영천역 일대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물론 지난해 예산을 확보하고도 아직까지 사업추진이 지지부진한 현상이 재현될 수 있는 만큼 크게 우려하는 분위기다.도시재생 전문가들은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의 성공은 사업의 주체인 주민들의 아이디어와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 가능한 만큼 주민과 함께 지혜를 모아, 민간과 공공기관이 협력해 신규 사업을 적극 발굴하는 등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며 행정기관의 조직적이고 적극적인 대책을 강조했다.문장원 박사(한양대 겸임교수)는 “도시재생사업이 과거 관주도의 일방적인 개발에서 주민주도형으로 사업추진 방식이 변화되고 있어 행정과 주민, 시민단체 등 통합협력체제를 구축하여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