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우슈 의 종목들과 각각의 특징에 대하여 마무리를 지어보고자 한다. 우슈 의 종목중 ‘권술’ 13종목 중 소림권 까지 모두 10가지 종목을 알아보았 다. 나머지 착각권, 지당권, 상형권 이 있는데 각각의 특징을 알아보도 록 하겠다. 11> 착각권 : 퇴법을 주요내용 으로 하는 권술로 기본 퇴법에는 정, 단, 괴, 점, 궐, 착, 등, 연 등이 있으며 연습시에는 일보일퇴, 일보일각과 척과 타를 번갈아하고 좌우를 호환하고 손과 발을 병용하여야 하는 것이 특징이다. 12> 지당권 : 질박번곤 등 지당솔법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권술이다. 기교성이 비교적 강 하고 동작난도가 비교적 높다. 13> 상형권 : 상형권은 공방동작이 각종 동 물 형태와 인물생활 형상을 모방하고 결합하 여 조성한 권술로 응조권, 당랑권, 후권, 사권, 취권 등으로 상형권은 상형의미를 강조하며, 모방만을 추구해서는 안되며, 우슈의 공방특 징을 표현해야 한다.
다음으로 도구를 이용한 ‘기계’가 있는데 총 4가지로 나누어 진다. 1> 단기계 : 도, 검, 비수 등 주로 칼을 이용하여 하는 술기라고 보면 쉽다. 2> 장기계 : 창, 곤, 대도, 박도 등으로 길이가 긴 도구를 이용하여 하는 술기이다. 3> 쌍기계 : 쌍도, 쌍검, 쌍구, 쌍극, 쌍두쌍창 등으로 검이나 쌍 절곤 등 같은 두 가지의 도구를 가지고 하는 술기이다.
다음으로는 상대방이 있어 함께 이루어지 는 ‘대련’종목이 있다. 1> 도수대련 : 대타권, 대금나 등
2> 기계대련 : 대벽도, 대자검, 대찰창, 단도 진창, 쌍도진창, 박도진창, 삼절곤 진창 등 도구를 이용하여 두 사람 이 겨루는 술기이다. 3> 도수와 기계대련 : 공수탈도, 공수탈창, 공수과쌍창 등으로 맨 손과 도구를 함께 하는 대련이라 고 보면 무방할 듯 하다. 마지막으로 6명이상이 함께 만 들어 나가는 ‘집체종목이 있는데 그 종목으로는 도수 또는 기계집체가 있다. 도안을 편성할 수 있으며 표현시 대형이 가지런하고 동작이 동일한 점이 특징 이다. 요즘은 주로 실버세대들이 이 ’집체종 목‘에 주로 참여를 하는데 6명 이상이 한 사람 으로 움직이는 듯한 모습은 가히 장관이라고 할 만하다. 지금까지 우슈 속에 들어있는 많은 종목들 을 보았다. 공식적으로 대회에 참여할 수 있는 이러한 종목들 이외에도 중국에는 수많은 무 술들의 종류가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흔히 우 리가 이소룡이나 성 룡등을 통해 영화로 보아 왔던 영화 속의 장면 에 있는 무술의 모습 과 대회 속에서 볼 수 있는 무술의 모습은 다른 부분들이 많이 있다. 우슈를 하고 있 는 많은 이들도 각자 자신이 좋아하고 자 신에게 맞는 종목들 을 택해서 그 종목에 서 최고가 되기 위해 수많은 땀방울을 흘 리고 있다. 이제 얼마 있지 않아 ‘보은’에서 우슈 대회가 펼쳐지게 된다. 그 대회에서 또다 시 수많이 이야기들이 펼쳐 질 것이다. 이 두 번의 우슈 소개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좀 더 우슈에 대해 이해를 하였으며 이해를 넘어 우 슈라는 종목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 는 시간들이 되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