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에서는 물의 흐르는 모양을 보고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누어 분류하고 있 다. 산봉우리를 오행 산으로 분류한 것 처럼 물의 흐름도 오행(木·火·土·金·水)으 로 분류하고 이를 오성수(금성수, 목성 수, 수성수, 화성수, 토성수)라고 한다. 이 러한 오성수의 길흉에 대해 하나씩 알아 보자. 금성수는 활처럼 혈장을 감싸 안고 흐르는 물을 말하는데 아주 좋은 물이 다. 풍수에서는 금성수가 혈장을 감싸고 흐르면 부귀가 따르고 세상의 존경을 받 는 후손이 태어난다고 한다. 그 다음 목 성수는 물이 일자처럼 곧장 흐르는 것을 말하는데 물이 혈장으로 바로 흘러 왔다가 용혈을 충사(沖射)하고 직각으로 방 향을 바꾸어 흘러나가기 때문에 아주 흉 하다. 이런 경우는 가산이 빈곤하여 유리 걸식하고 살상(殺傷)이 난다고 되어있다. 수성수는 혈장주위에 지현(之玄)字로 굴 곡(屈曲)하면서 구불구불하게 흐르는 물 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유속이 늦어 혈 장에 많은 생기를 공급해주기 때문에 길 수(吉水)로 친다. 이 물은 후손 중에 거부 가 출현하지만 전체 물줄기가 혈처를 감 싸주면서 흘러야지 반궁(反宮)하면 오히려 흉하다. 화성수는 혈장 앞에서 직선으 로 곧장 빠져나가는 물을 말하며 흉수이 다. 화성수가 혈장을 충사하면 성품이 오 만한 후손이 출(出)하며 집안에 온갖 재 앙이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토성수는 사 격의 일자문성과 같이 물이 직각으로 곧 게 흐르는 경우를 말하는데 대체적으로 길흉은 반반으로 본다. 혈을 감싸며 흐르 는 토성수는 길하지만 반배하면 흉하다. 위에서 열거한 오성수가 물의 형세를 보고 길흉을 구분한 형세론적 수법론이 라면 혈장을 중심으로 어느 방위에 물이 있는지를 보아 길흉을 구분하는 이기론 적 수법론도 있다. 이것은 혈지의 좌향과 상관없이 나침판의 남북을 기준으로 어 떠한 방위로 물이 득수(得水)하거나 지호 수(池湖水)가 있으면 길하다는 이론인데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먼저 음양최관 수(陰陽催官水)라 하여 艮(북동), 巽(동 남), 震(동), 兌(서)의 陰방위와 남(丙,丁), 서(庚,辛)방위에 득수처나 지호수가 있으 면 속발부귀(速發富貴)하고, 삼양육건수 (三陽六建水)라 하여 동남(巽) 남(丙,丁) 의 三陽方과 亥, 艮, 丁, 卯, 巽, 丙의 六建방위에 득수처나 지호수가 있으면 정재 발왕(丁財發旺)하고, 삼길육수수(三吉六 秀水)라 하여 震, 庚, 亥 방위의 삼길방과 艮, 丙, 巽, 辛, 兌, 丁 방위의 육수방에 득 수처나 지호수가 있으면 부귀왕정(富貴 旺丁)하여 후손들에게 부와 권력을 가져 다준다. 이렇듯 풍수에서는 길수도 있지 만 방위와 형세에 따라 흉수도 많다. 대 표적인 흉수로는 패철1층과 2층으로 방 위를 측정하는 팔요황천수와 사로팔로 황천수가 있고 물이 빠져나가는 파구를 중심으로 국(局)을 정하고 12포태법으로 기포하여 득수와 파구 및 내룡에 대한 길흉을 구분하는 방법이 있으며, 최근에 많이 쓰이고 있는 88향법은 물의 득수와 파구를 먼저보고 좋은 향을 놓아 인위적 으로 발복을 얻게 하는 방법 등 물의 형 세와 방위로 풍수의 길흉을 알아내는 방 법은 참으로 다양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