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10대 정상급 마경기장에 대해 알아보고 있는 중인데, 이번에는 그 중 세 번째 경마왕국인 영국의 세계 최고 첼트넘 마경기장, 네 번째 세계 최고 평의 마경기장인 홍콩 샤티엔 마경기장을 살펴보자. 세 번째는 영국 최고의 마경기장이기도 한 영국 첼트넘 마경기장(Cheltenham Racecourse)인데, 영국 첼트넘 외곽에 위치하며 로스터(Gloucester)와 옥스퍼드(Oxford)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해있다. “국가 헌트경기의 고향”이라는 명성이 있는 현대 마술(馬術)의 발원지이기도 하다. 마경기장은 67,500명 관중을 수용할 수 있고 경기장 내 신구 두 정규 트랙이 있는데 그 중 신트랙은 땅모양도 복잡하고 구트랙에 비해 경기마 장애트랙이 많으며 트랙의 길이는 4225m이다. 또 정규 트랙 외에 여기에 크로스컨트리 트랙도 있어서 비교할 수 없이 격렬하고도 자극을 맘껏 즐길 수 있다. 매년 3월에 열리는 골드컵은 성황리에 치뤄진다. ‘마경주’라고 하면 영국이 생각날 정도로 영국인들에게는 이미 생활의 한 부분이 되었다.  네 번째는 세계 최고 평가의 마경기장의 하나인 홍콩 샤티엔 마경기장(Sha Tin Racecourse)이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마술 프로그램의 경기장이기도 했던 샤티엔 마경기장은 홍콩에서 두 번째 마경기장, 세계 일류, 아시아의 정상급 경기장이다. 신계(新界, 홍콩에 있는 도시) 동부의 샤티엔취(沙田区)에 위치하고 있으며 85,000명의 관중을 수용한다. 1974년 3월에 공사를 시작하여 1978년 10월7일에 개장했으며, 매년 9월부터 다음해 7월초까지의 마계절 기간에 샤티엔 마경기장은 매주 경기가 열리는데 일반적으로 매주 수요일 저녁 혹은 토요일, 일요일 오후에 열리고 매년 700여 건의 마경기를 한다. 설비가 완벽하기로 세계에서 유명하며, 경기장내에 전 세계 가장 넓은 큰 스크린이 있는데, 길이 70.4미터, 면적은 52cm크기의 텔레비전이 4,500여대가 겹쳐진 크기이다. 매 경기의 자료 및 경기 결과를 자세히 전시해서 경마 팬들은 각 마필의 표정을 놓치지 않고 볼 수 있다. 2003년에는 23개 마방, 1,260필의 말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완비했다. 경기장내에 있는 펑푸공위엔(팽복공원, 彭福公园)은 홍콩에서 가장 큰 공원 중의 하나이며, 경기장 이외에 주변에 새 서식지와 아름다운 정원이 있어 관광객들이 끊이지 않는다. 한편 홍콩에는 2개의 경마장과 125개의 스크린경마장이 있다.  한편, 중국은 아주 오래전부터 말문화가 풍부하게 있었던 나라이다. 주목왕의 팔준마(八駿馬), 진시황의 칠준마(七駿馬), 한무제의 구일(九逸), 당태종의 십기(十骥), 항우의 오추마(烏騅馬), 유비의 적로마(的盧馬), 마중적토 인중여포(馬中赤兎 人中呂布)로 유명한 여포와 관우의 적토마(赤兎馬) 등 중국의 영웅들은 그들의 말에 고유의 이름을 지어 아꼈던 것으로 보아 그만큼 중요하게 생각했다는 것을 할 수 있다. 이후 영둥들의 말이야기도 한번 다뤄볼 예정이다. 말을 가리키는 어휘도 다양해서 “류(骝)”는 검은 갈기, 검은 꼬리의 빨간색 말을 가리키며, “총(骢)”은 청백 잡색 털의 말을 가리키고 국화청(菊花青)이라 부르기도 하며, “려(骊)”는 진한 검은 색 말을 가리키며, “기(骐)”는 청흑색 무늬가 있으며, “화(骅)”는 적색 말이며, “추(骓)”는 회백색 잡색의 말 등을 가리킨다. 동물에 대한 어휘가 이렇게 풍부한 것도 말이 거의 유일한데, 그만큼 말을 중요시했음은 물론 인간과 친숙했을 뿐 아니라 그만큼 풍부한 문화가 함께 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 사진 제공 : baidu,com** 필자 메이칭의 카페 주소 : http://cafe.naver.com/orangewo8x5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2 19:12:21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