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은 예로부터 영약으로 여겨져 왔다. 고려 인삼의 학명은 ‘Panax ginseng’인데 panax란 그리스어로 ‘모든 것’을 의미하는 ‘pan’과 약을 지칭하는 ‘axos’의 합성어이다. 즉 인삼의 학명은 ’만병통치약‘이라는 데서 유래되어왔다. 우리 선조들도 인삼을 ‘신초(神草)’라 불렀으며 고려인삼은 중국의 왕실과 널리 서양에까지 세계로 그 효능이 알려진 한국의 자랑거리였다.  인삼에 얽힌 일화로 조선시대 최장수 임금인 영조의 이야기가 있다. 조선시대의 평균 수명을 훨씬 웃도는 83세의 나이까지 장수한 영조의 비결은 바로 인삼이었다. 영조는 72세 무렵에는 한 해 동안 20여 근의 인삼을 먹었으며, 돌아가실 때 까지 10년 동안 무려 100여 근의 인삼을 복용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조선의 학자인 서유문이 지은 ‘무오연행록’에는 청나라의 건룡황제가 중병이 나서 인삼을 매일 달여 먹었다는 기록도 찾아 볼 수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인삼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인삼의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맛은 달고 독이 없다.’ ‘오장(五臟)의 기가 허한데 쓰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눈을 맑게 하며 기억력을 좋게 한다.’ ‘허해서 손상된 것을 보충하고 곽란(癨亂)으로 토하고 딸꾹질하는 증상을 멎게 한다. 폐위(肺痿)로 인해 고름을 뱉어내는 것을 치료하고 담(痰)을 삭힌다.’ 이와 같이 인삼은 원기를 북돋고 피로를 회복시키는 효능이 있어 허탈에 의해 대사기능이 저하되고 오장의 기운이 떨어졌을 때 사용되던 약재이다.  또한 인삼은 몸의 진액을 보충해주어 현대의 당뇨병에 해달하는 소갈병(消渴)을 다스리는 데도 널리 사용되었다. 사상체질적으로 보면 인삼은 몸이 차고 소화기계가 약하며 체형이 마른 소음인들에게 더욱 맞는 약이며, 다만 몸이 대체로 뜨겁고 상체가 건장한 소양인들에게는 잘 맞지 않는다.  현대의학적인 관점에서의 인삼의 효능은 인삼에 함유된 사포닌(saponin)성분이 면역력을 높이고 항산화 작용을 해 신체의 저항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고 밝혀졌다. 인삼의 효능에 대한 연구로 면역력이 약한 100여명의 실험대상자에게 4개월간 인삼추출물을 매일 500g씩 복용시킨 결과 감기과 같은 가벼운 질환의 이환 횟수가 줄고, 기존에 있던 질환의 증상이 완화되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인삼의 사포닌은 암의 전이를 억제하고 면역력을 높여서 암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최근 여러 연구결과에 의해 밝혀진 바 있다. 소화기계 암 환자들에게 항암제와 인삼을 함께 투여한 군과 항암제만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을 비교 대조한 결과, 인삼을 함께 복용한 그룹에서 암 치료의 호전도가 상승하고 생체 내 기능 정도가 좋아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인삼과 잘 배합해서 먹기 좋은 조합은 꿀과 대추이다. 인삼과 꿀을 배합하면 비위(脾胃)기능이 허약하여 입맛이 없고 자주 구역감을 느끼는 증상에 효과가 있다. 꿀은 따뜻한 성질이 있어 인삼과 궁합이 잘 맞고, 인삼은 인체에 유용하지만 열량이 낮은 편이기 때문에 꿀과 함께 섭취하면 인삼에 부족한 칼로리를 보충할 수 있다. 대추는 부드럽게 기운을 보하는 약으로 당질이 많아서 피로회복에 탁월하며 한의학에서는 신경안정제로 처방에 많이 사용하는 약재이다. 대추와 사포닌이 함유된 인삼을 함께 먹으면 체력 보충의 효과가 증대된다.  그러나 인삼은 본인의 체질과 신체 상태를 고려하여 복용해야하는데, 인삼은 기본적으로 열(熱)이 많은 약재이기 때문에 체질적으로 열이 많은 사람이 복용하면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사상체질적으로 볼 때 소양인이 여기에 해당한다.  또한 효소에 의해 사포닌을 분해하는 능력이 개인별로 달라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일부 사람들에게는 이 효소가 아예 없거나 일부가 결여되어 사포닌을 제대로 분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인삼의 부작용은 열이 과하게 올라 온 몸이 더워지고 가슴이 답답하여 심장이 두근거리게 된다. 또한 눈이 충혈되며 심하면 피부발진이 나타날 수 있는데 복용을 중단하면 이러한 증상은 곧 사라진다. 또한 고열 감기, 폐결핵, 천식, 피부 가려움증, 아토피와 같은 질환이 있을 경우에도 인삼을 먹기 전 한의사와 상담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영천손한방병원:054-334-4771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1 19:45:44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