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원에서 진료를 하다보면 화병으로 내원하는 환자분들을 흔하게 보게 된다. 흔히 울화가 치민다, 가슴이 답답하다고 표현하는 이런 화병은 양방병원에서는 신경성이라는 진단을 받기 쉬우며 화병이라는 용어자체는 한의학서적에서 유래된 질환명이다. 화병의 발생과 증상의 출현에 대해서는 우리나라 특유의 문화적 배경을 원인으로 보기도 하여, 1995년 미국정신의학회에서는 화병을 ‘Hwa-byung’이라는 한국식 표현으로 정식 표기하여 한국민속증후군의 하나로 규정한 바 있다.  화병은 울화병이라고도 하며 억울한 감정을 제대로 발산하지 못하고 억제한 결과로 발생하는 여러 증상을 포괄한다. 그 증상들은 대체로 화(火)의 양상을 가지며, 정신의학에서는 한국인에게만 나타나는 특수한 질병으로 화병을 정의하고, 정서적으로 참는 것을 미덕으로 생각하는 한국인의 습관에서 생겨난 것으로 보고 있다. 오랜 기간 동안 정신적인 갈등으로 분노를 삭이지 못하던가, 정신적인 고민이 이어지거나, 혹은 갑작스런 극심한 정신적 충격을 받았을 때 생기는 경우 모두 화병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한의학에서 화병의 발병 원인은 주로 여성이 외부적인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어려워 억울한 감정이 계속 쌓여 울화가 되고,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는 과정에서 시간이 오래되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화에 대한 억제 능력이 점차 한계에 달하면서 감정적, 신체적 증상으로 발생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화병의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가족 내의 갈등이 가장 많았는데, 주로 죽음이나 배신과 같은 비교적 갑작스러운 사건보다는 장기간 지속되는 갈등에서 화병이 더욱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병을 일으키는 원인적인 감정에 대해서는 화와 분노, 그리고 억울함과 분함이 가장 많았으며, 걱정 미움 불안 후회 우울 놀람 순으로 그 빈도수가 높았다. 화병에 대한 특이점으로는 환자본인이 화병의 원인에 대하여 분명히 인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임상적으로 화병으로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증상은 다음과 같다. 화병의 정신적인 증상으로는 가슴이 답답하여 뛰쳐나가고 싶은 기분이 들거나, 분노를 쉽게 조절할 수 없는 경우를 주로 호소한다. 신체적 증상으로는 전신의 열감, 두통, 어지러움,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 목에 무언가 걸린 듯한 느낌, 진땀이 나는 것, 치밀어 오르는 듯한 상열감, 사지의 저림, 대변의 장애, 식욕부진 등의 소화장애, 전신의 통증, 불면증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화병의 주된 증상들이 끓어오름, 화가 남, 가슴의 열감이나 치솟음으로 나타나는 것이 화병이 화(火)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때문에 화병의 상태를 한의학에서는 심화항염(心火亢炎) 상태로 설명하는데 얼굴이 벌게지거나 두통이 오며 머리가 맑지 않고 불면증이나 심장 두근거림, 깜짝깜짝 잘 놀라는 증상 등이 이러한 상태이다. 심화항염의 증상이 오래가면 울화(鬱火)로 몸 안의 진액과 기혈이 말라 신수(腎水)가 메마르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는 심신불교(心腎不交)의 상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우리 몸은 수승화강(水昇火降)이 잘 이루어져야하는데 이렇게 심신이 서로 교통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면 이 수승화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또 다른 증상들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병의 한의학적 치료는 스트레스를 풀고 화(火)를 내려주는 치료로 진행하게 된다. 오래된 화병의 경우에는 수(水)를 보충하는 치료도 필요하다. 즉, 기본적으로 수승화강(水昇火降) 치료를 통해 기혈을 막고 있는 울화를 제거하고 화를 몸 밖으로 발산시켜주는 치료가 필요하다. 화병에서 열을 떨어뜨리는 청열약과 기의 순환을 도와주는 이기약, 화의 억제를 위해 수(水)를 도와주는 자음약, 정신을 안정시키는 안신약 등의 약재를 활용하여 한약처방과 함께 기를 소통시키는 데 효과적인 합곡, 전중, 백회, 삼음교 등의 혈자리에 침치료를 활용하게 된다.  한약처방과 침치료 이외에도 화병에서는 가족들간의 관심과 애정어린 말들이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인체의 기의 순환과 울체를 풀어주기 위해 적당한 운동 등의 생활 관리도 화병의 증상완화에 도움이 된다. 영천손한방병원:054-334-4771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1 19:52:48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