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시가 지난 2일부터 오는 20일까지 주민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복지수준 파악을 위한 ‘2019년 경상북도 및 영천시 사회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 조사는 1997년에 시작돼 올해로 23회째를 맞고 있다. 사회조사는 경제·사회발전에 따른 상태를 종합적으로 측정하고, 시민 생활의 양적, 질적 측면까지 파악해 지역 균형 발전, 복지 시책 추진 등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실시하는 것이다.
조사 내용은 가구와 가족, 교육, 노동, 소득과 소비, 주거와 교통, 환경, 안전, 여가와 문화, 사회통합 등 주민생활관련 9개 영역에 대해 38개 경상북도 공통문항과 영천시가 자율적으로 선정한 7개 특성항목 등 총 45개 항목으로 이뤄져 있다.
우리시의 조사대상 가구는 표본가구로 추출된 864가구이고, 가구내 만 15세 이상 가구원으로 조사원이 가구를 방문해 면접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특히 올해 조사는 주민들의 범죄 피해에 대한 두려움, 준법수준, 주말과 휴일 여가활동, 문화예술 및 체육시설에 대한 접근성, 사회적 관계별 소통정도, 개인의 행복수준 등 주민들의 안전, 여가와 문화향유, 사회통합정도에 대한 세부항목이 추가됐다고 한다. 시는 이 조사를 통하여 시민생활의 양적‧질적 수준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지역개발과 복지정책 추진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EU나 OECD에서 사회조사는 국가 간 삶의 질 비교, 지역개발이나 정책수립에 기본자료로 활용되는 중요한 조사다. 이런 조사를 함으로써 지역민의 실질적인 삶을 측정하고 그것을 토대로 정책의 중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 이번 조사가 민선7기 1년을 경과하는 시점에서 그간 의욕적으로 추진한 정책들이 주민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측정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조사방법은 선정된 표본 가구를 조사원이 직접 방문해 조사항목에 대해 묻고, 응답자의 답변을 기입하는 면접조사를 원칙으로 한다. 또 방문 시 부재중이거나 면접조사에 응하는 것이 불가피할 때에는 조사원의 안내를 받은 후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조사방식도 일부 병행한다고 한다.
가구별 경우에 따라서 생활수준이 드러나는 등 다소 응답하기에 부담스러운 부분이 없지않다. 하지만 현행법상 비밀 보호규정에 따라 통계작성 목적 이외에는 사용될 수 없도록 엄격히 보호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사회조사에 주민들 스스로 성실하고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하는 자세가 필요한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