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1577년 세계최초의 활자조판방식 상업용 일간신문 ‘민간인쇄조보’ 학술세미나가 오는 28일 영천시립도서관 지산홀에서 열린다.
이 신문이 중요한 이유는 발행 시기, 제작방식, 희귀성, 이 세 가지 때문이다. 지금까지 세계 최초의 활판 방식 일간 신문은 1660년 독일에서 발행된 <라이프찌거 짜이퉁 Leipziger Zeitung>이다.
‘활판인쇄 일간지의 효시’ 라는 이 독일신문보다 83년 앞서, 조선 1577년, 선조10년에 활자조판방식을이용한 상업용 일간신문인 <민간인쇄조보>가 간행됐다. 그러니 우리나라가 최초의 활판신문 국가가된다. 손으로 쓴 필사신문에서 활자 나라인 조선시대에 걸맞게 근대 신문의 제작방식을 이용 활자를순서대로 끼워 맞추는 조판방식을 세계 최초로 도입해서 매일 간행하는 일간신문을 만들어냈다. 신속성과 상업성을 갖춘 신문의 간행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선조수정실록’의 기록에 보면 활자로 매일 간행하고 배달을 했으며, 사고파는 상업용 일간신문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신문의 희귀성으로 조선왕조 ‘선조실록’과 율곡 이이의 경연일기인 ‘석담일기’. ‘선조 수정실록’에 ‘민간인쇄조보’의 존재를 기록하고 있으나 최근까지 그 실물이 발견되지 않고 있었다.
근대 신문의 역사가 시작되던 19세기 후반 언론학자인 육당 최남선·구당 유길준·민세 안재홍 등이 100년 전부터 “이 신문을 찾기만 하면 우리나라가 세계최초의 활판 신문 국가가 될 수 있다”고 말한 조선의 최초 신문이었다.
현대에 와서도 많은 학자들이 관련 실체가 없는 <민간인쇄조보>에 대한 논문이 10여 편이 나왔으나그 실물을 보지 못하고 쓴 논문이었다. 그런데 그 민간인쇄조보가 2017년에 경북 영천에서 유일하게발견되자, 언론학자들이 ‘기적이다’라는 한마디로 대신하고 있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521호로 지정된 <민간인쇄조보>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이번 세미나 발표자는,김경수 청운대학교 역사학 ‘조선시대 민간인쇄조보편간의 역사와 의미’를 발표, 김영주 전 경남대학교커뮤니케이션학 ‘1577년 민간인쇄조보의 언론사적 의의’를 발표, 옥영정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지학 ‘16세기 목활자 인쇄와 조보인쇄의 가치’, 이민희 강원대학교 국어교육학 서적유통 ‘민간인쇄조보의 유통과 독서’, 서호철 한국중앙학연구원 사회학 ‘1577년 민간인쇄조보의 내용과 사회사적 의미’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