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심판’이냐, ‘현역 심판’이냐. 향후 권력 향배를 판가름할 4·15 총선 공식선거운동이 지난 2일부터 시작됐다.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정책 홍보도, 선거 유세도 유권자들에게 탐탁지 않게 다가오는 것이 현실이다.
이번에 치러지는 선거는 ‘코로나19’가 강타한 국내 상황에서 악화일로에 치닫고 있는 ‘경제’, 이어 선거법 개정으로 새롭게 적용되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와 ‘만 18세 선거권’ 등이 표의 향방이다. 느닷없이 몰아닥친 코로나 감염병 확산으로 중산층 이하 서민들의 생활이 피폐하기 짝이 없는 지경에 이른 시점에 치러지는 총선이다. 마스크를 구하기 위해 줄을 섰던 시민들은 이제 긴급 생활자금이나 경영안정자금을 받고 빌리기 위해 읍면동사무소와 은행 창구 앞에 장사진을 이루는 지경이다.지금 국민을 우롱하는 상황이야 “여야가 모두 똑같다”는 말처럼 정치 혐오가 정치 외면으로 이어지고 자칫 투표율 부진으로 이어지지 않을 지 우려된다. 이제 딱 일주일 남은 짧은 선거 기간이지만 이번 총선은 대한민국과 우리 지역의 명운을 결정하는 중차대한 일이다.
각 정당이나 후보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21대 총선의 화두는 우리가 사는데 있어 걱정거리 없이 잘 살게 해주는 것이다. 가뜩이나 경제지표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올해 갑자기 터진 코로나 사태로 인해 경제 전망은 매우 불투명하다. 지금도 어렵지만 앞으로 수개월 후, 1년 뒤 경제가 얼마나 더 나쁠질 지도 모르고 그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게 사실이다.
우리 지역도 생산력과 인구 감소에다 고령화 문제와 출산율 저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역 소멸을 우려하는 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지원이 필요하다. 영천과 청도는 인구가 적고 재정자립도도 매우 낮다.중앙정부의 지원이 필요한데 문제의 접근방식도 바꿔야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지역 산업구조에 맞는 발전 정책으로 지역의 주요 산업을 효과적으로 육성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이런 모두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제와 산업 이해도가 높은 사람이 21대 국회의원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 선거일까지 남은 시간. 진보와 보수, 지연과 혈연 등 성향을 떠나 `경제`라는 키워드 하나에 집중해 21대 국회를 바로 세울 `경제일꾼`을 점찍어 놓자.유권자들의 바람대로 이 지역의 미래를 걱정하고, 지역의 변화와 정치의 변화를 가져다 줄 후보를 뽑아야 한다. 주민들의 삶에 변화를 직접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그런 정책들을 담아 알리는 후보를 선택해야 한다. 코로나 사태에 매몰돼서 투표를 하지 않으면 안된다. 정권 심판이나 야당 심판이 아닌 ‘정치’를 심판해야 한다. 최악으로 평가받는 진흙탕의 20대 국회와 비례위성정당 논란, 공천 갈등 등 그동안 정치권의 행태를 보면 혐오를 뛰어넘어 투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중앙선관위의 이야기처럼 깨어있는 유권자가 올바른 선택을 할 때 희망과 화합의 새로운 민주주의가 활짝 열린다.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민주주의 가치도 언제나 시민들의 소중한 한 표가 변화를 만들어 왔다는 점을 마음에 새기고, 마스크와 신분증을 들고 투표장으로 가자. 그 한표에 나라와 우리 지역의 앞날이 달려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