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절은 수련과에 속한 연의 뿌리를 말하는 것으로 전국 각지의 연못이나 논에서 재배한다. 연은 흰색이나 분홍색 꽃이 피어 사람들에게 시각적인 즐거움도 주지만 연잎, 연꽃, 연밥, 연근 등 버리는 것이 없을 정도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진다.옛날 송나라 때 효종이 민물 게를 먹고 생겨난 이질을 게의 독을 해독할 수 있는 연근으로 치료했다 하고, 조선시대 이율곡이 16세때 어머니 신사임당을 잃고 슬픔에 겨워하다 건강을 잃을 뻔 했는데 연근죽을 먹고 기운을 찾았다는 일화에서 연근의 뛰어난 효능을 확인 할 수 있다.한의학에서는 연근을 우절이라고 하며 열독과 어혈을 없애주고 모든 출혈증에 사용한다. 익히지 않은 생즙으로는 어혈과 열을 없애주고 익혀서 사용하면 화혈하고 진액을 도와 줄 수 있다.연잎차는 6∼9월에 연잎을 얇게 썰어 살짝 볶은 뒤 말려서 물에 우려 마시는데 철분 함유량이 높아 빈혈 예방에 도움이 되고 갈증 해소나 면역력 증강, 각종 출혈을 멎게 해 줄 수 있다. 연잎차는 탄닌의 함유율이 낮고 카페인 함유량도 적어 어린이나 노약자도 무난히 마실 수 있다.연자육 즉 연꽃의 열매는 진정효과가 있어 불면증이나 신경과민증 환자들에게 마음을 안정시키는 약재로 사용하며 최근 논문에는 자양강장의 효과가 있어 발기부전이나 전립선 비대증으로 인한 빈뇨증상 등을 개선해 준다는 연구논문들이 외국에서도 나오고 있다. 연꽃차는 7∼8월에 채취하여 사용하며 지혈작용과 피부미백 작용, 아토피 증상 완화 등의 효능이 있어 화장품에도 활용 할 수 있다.연근의 효능으로는 뮤신이라는 실처럼 끈끈한 물질이 동맥경화증의 원인이 되는 콜레스테롤을 없애주고 위벽을 보호해 주는 기능이 있다. 또한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높으며 특히, 숙취해소에 도움이 되는 아스파라트산, 비타민C가 많아 간의 해독작용을 촉진시켜준다.열을 내려주고 마음을 안정시키는 진정작용이 있어 신경과민이나 스트레스, 불면증, 우울증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섬유질이 풍부해 소화기능을 촉진시키며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있어 고혈압을 예방할 수 있으며 지혈 작용이 있고 노화방지와 불임예방에도 도움을 주는 비타민E와 철분 함량이 높다.연근은 식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한 효능을 잘 살펴 음식으로 사용하면 약이 될 수 있는 귀한 식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