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호에서도 계속해서 마(馬) 글자가 들어간 중국의 어휘들을 살펴보자. 여기에서는 그 밖에 관련된 아주 풍부하고 다양한 마(馬)자 어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말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부터 말과 관련이 없는 마자 어휘 또한 적지 않다. 찾는 작업을 하면서 필자도 이렇게 많은 어휘가 있는지는 상상도 못했다. 우선 사전에 나오는 어휘를 중심으로 그 뜻을 함께 알아보자.
181) 马席(마석) : 말안장으로 자리를 한다는 것으로, 푸대접하고 깔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182) 马癖(마벽) : 애마벽(愛馬癖). 말을 지나치게 좋아하는 성질 183) 马埒(마랄) : 사격을 익히고 길을 달려가다. 184) 驷马(사마.) : 한 수레를 끄는 네 필의 말, 또는 그 수레 185) 扇马(선마) : 骟马, 거세한 말, 말을 거세하다 186) 筋马(근마) : 근골이 강건하지만, 비장한 말에 불과하다 187) 马蕲(마기) : 개회향(식물) 188) 马蕮(마사) : 질경이. 차전초(車前草). 부이(芣苡). 차과로초(車過路草). 189) 畋马(전마) : 사냥하는데 쓰이는 말 190) 马酮(마동) : 마유주 191) 马捕(마포) : 포졸 192) 趣马(취마) : 고대 왕마를 다스리던 관명 193) 省马(성마) : 송대에 말을 구입하고 분배하던 일종의 제도 194) 马圉(마어) : 말을 키우는 사람 195) 马筴(마협) : 고대 일종의 내기 바둑 196) 牸马(자마) : 암말 197) 籍马(적마) : 말을 징발하여 등록하다. 198) 溜马(류마) : 遛马, 말을 슬슬 산책시키다[끌고 다니다]. 199) 怗马(첩마) : 말 위에 엎드리다. 200) 下马威(하마위) : 옛날 벼슬아치가 부임 초부터 짐짓 위풍을 부리다. {비유} 첫 시작부터 호된 맛을 보여 주다. 첫맛에 본때를 보여 주다. 201) 马尾辫(마미변) : 말총머리. [머리카락을 말꼬리처럼해서 머리 뒤로 묶은 머리.] 202) 斑马线(반마선) : 횡단보도 203) 马蜂窝(마봉와) : 벌집, 아파트 식 주택의 다른 이름, 물도 새지 않고 바늘로 찔러도 들어가지 않을 만큼 견고한 독립왕국. 204) 马铃薯(마령서) : 감자 205) 马齿苋(마치현) : 쇠비름 206) 马头琴(마두금) : 몽고족의 현악기. [줄이 둘이며, 사다리형으로 머리 쪽에 말의 머리가 새겨져 있음](사진1) 207) 马后炮(마후포) : ‘象棋’(장기)에서 ‘马’가 뜬 후의 ‘炮’라는 말로, 행차 뒤의 나팔. 성복 뒤의 약방문. 일이 끝난 다음의 쓸데없는 언행. 뒷북치는 것. 굿 뒤에 날장구 208) 刀马旦(도마단) : 중국 전통극에서 무예에 뛰어난 여자역(사진2) 209) 马尾松(마미송) : 산잣나무 210) 马蹄铁(마제철) : 편자, 말굽쇠 220) 木马计(목마계) : 목마 계략.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의 장군 오디세우스가 고안하여 트로이를 함락시킨 계략] 221) 露马脚(로마각) : 마각[진상]이 드러나다. 탄로 나다. 정체를 드러내다 222) 车马费(거마비) : 교통비 223) 马蹄袖(마제수) : 말굽형 소매. 말굽 토시. [청(淸)대 남자 예복의 소매 끝이 말굽 모양으로 불룩한 소매.] 224) 马屁精(마비정) : 아첨쟁이. 아첨을 잘하는 놈 225) 绊马索(반마삭) : 옛날 전쟁할 때, 적의 말이 걸려 넘어지도록 둘러친 굵은 새끼나 밧줄. 226) 马蹄表(마제표) : 원형·말굽형의 작은 (자명종) 시계. 사발시계 227) 马兰头(마란두) : 감국, 다년생 초본 식물로 그 잎은 ‘马兰头’ ‘马菜’ ‘鱼鳅菜’ ‘鸡儿肠’ 등이라 하며 식용함 228) 马头墙(마두장) : 마두장. (방화용으로 만든) 높은 말머리 담장. 말머리 모양의 방화벽. [중국 전통 건축 양식의 하나. 중국 강남 지역의 전통 건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두 측면 벽이 지붕보다 높고 지붕의 경사면에 따라 계단모양을 하고 있음. 화재가 났을 때 불길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므로 ‘封火墻(방화벽)’이라고도 함.] 229) 马钱子(마전자) : 번목별. 마전의 씨, 영주치자 230) 马蹄金(마제금) : 말굽 모양으로 주조한 금(金), 쓰촨(四川)성에서 나는 여주의 일종. 찾아볼수록 많은 단어에 놀랍고 재미나고 게다가 흥미롭기까지 하다. 두 글자의 단어에 비해 세 글자의 단어는 그 안에 이야기를 가진 단어들이 많은 편이다. 말하자면, 이야기가 있는 사자성어 같은 개념이다. 아주 재미나다. 아직도 많이 남아 있지만, 마(馬)자와 관련된 단어에 대한 내용 소개는 다음 기회로 미뤄야겠다. 엄청 방대한 어휘들을 여기에서 다 다루기에는 끝없이 이어지는 어휘가 지루하기까지 하다. 다음 호부터는 회화 속 말과 관련된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말이 있는 회화들은 적지 않은데, 그 그림들의 안에 숨은 이야기를 통해 말(馬)과 그림에 대해 좀더 친숙하게 다가가고자 한다. ** 사진 제공 : baidu.com** 필자 메이칭의 카페 : http://cafe.naver.com/orangewo8x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