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임신 4개월 정도의 임신부가 입덧이 심하여 견디기가 힘들어 모친과 같이 본원에 오셔서 입덧을 치료한 후 떨어진 체력을 보충하는 한약치료를 받은 환자가 아기를 건강하게 분만한 후에 산후관리를 위해 본원에 내원하였다. 너무 반갑고 아기가 귀엽고 예뻐서 많은 축하의 말을 건넨 경우가 있었다.대개 임신으로 인한 입덧 즉 임신오저 증상은 2개월 전후부터 시작되어 5개월이전까지 잘 일어나며 5개월정도 되면 안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입덧의 정도가 심한경우는 5개월이후나 임신기간 내내 힘들어 하는 경우도 많다.경증의 입덧증상은 치료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 중증의 경우에는 치료를 해 주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태열이나 습담 기혈허약 등의 원인에 따라 임신부 상태를 살펴 치료약을 처방하면 산모도 태아도 건강하게 임신기를 잘 보낼 수 있다.보통 임신을 하게 되면 신체의 다양한 변화로 크고 작은 불편감을 호소할 수 있는데 임산부와 태아 모두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을까 하는 염려 때문에 병원치료나 한의원치료 모두 쉽게 치료법을 결정하지 못하고 아파도 참으면서 지내는 경우가 있다.최근에는 진통제나 기타 약물에 대한 임신부와 태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면서 미국과 영국 등 연구에서 임신초기 특정한 약물복용은 유산 등 악영향을 줄 수 있는 결과들도 보고되고 있다. 임산부에 대한 한의학의 안정성근거에 대해서는 일본과 중국, 한국연구진이 발표한 논문에 의하면 한약복용군과 위약복용군(대조군)을 비교하면 기형이나 저체중 조산율 등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고 발표되며 최근 국내한방에서 발표한 임신부 침 치료 안정성 연구에서도 침 치료를 받지 않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그 안정성이 입증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그러므로 임신시 발생하는 질병치료에서는 한약이나 침 치료가 화학적인 약물치료보다는 좋은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