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근관증후군은 보통 중년이후 여성 환자가 많이 호소하는 질환으로 주 증상은 손가락 1, 2, 3지가 저리고 무감각해지는 증상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통증 부위가 넷째 손가락이나 전체 손가락에 느끼는 경우도 있고 주로 야간에 증상이 훨씬 더 심해지고 물건을 세게 잡지 못해서 떨어뜨리거나 감각이 둔해지며 갑자기 손목에 힘이 빠져 병뚜껑이나 열쇠를 돌리는 행동이 어려워 질 수도 있다. 바느질처럼 정교한 작업을 할 수 없으며 증상이 더 심해지면 엄지손가락의 근육이 위축이 될 수도 있다. 손목뼈를 가로지르는 인대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손목터널은 손을 움직일 때 필요한 감각과 손가락을 움직이게 해주는 신경이 지나는데 이 통로가 여러 물리적인 원인에 의해서 좁아지면 신경을 눌러서 저림과 마비의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손목부위 골절이나 탈구, 종양, 임신, 비만, 당뇨, 갑상선의 기능장애가 있을 경우 이러한 증상이 생길 수 있으며 반복적인 가사노동이나 손목을 과다사용하여 피로해져 있을 때 잘 생길 수 있다. 간단한 진단 방법인 수근굴곡검사는 손바닥을 안쪽으로 향하여 손목을 약 1분 동안 심하게 꺾으면 손바닥과 손가락 1, 2, 3쪽의 이상감각이나 통증이 생기고 증상이 심해지는 상태가 나타나거나 정중신경이 지나가는 손바닥 쪽의 손목관절 가운데에 손가락으로 눌러보면 손바닥, 손가락 쪽의 감각이상이나 통증이 나타나면 수근관 증후군일 확률이 높다. 치료방법으로는 침과 한약, 약침, 물리치료 등으로 신경 부위에서 발생하는 통증과 염증을 완화시키고 근육, 연골, 인대 등을 보강시켜주는 치료를 시행한다. 일상생활에서는 손목을 무리하게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잘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손목을 무리하게 사용하는 일이나 운동을 피하는 것이 좋고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은 손을 쉬게 하는 것이 제일 좋지만 직업상 어쩔 수 없이 사용해야 하는 경우라면 팔과 어깨를 함께 움직여 손과 손목의 움직임을 최소화시켜주고 일하는 틈틈이 잠깐씩 쉬어주는 것이 좋다. 평소에 경직된 손목관절은 손목을 흔들어 근육을 풀어주고 스트레칭을 통해 피로감을 없애주고 자기 전에 따뜻한 물에 손을 담가주는 것도 좋은 관리방법이 될 수 있다. 영천손한방병원:054-334-4771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1 15:31:54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