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기 장군의 시 한 편을 보면 그 시대의 모습과 장부의 기개를 느낄 수 있다. 與諸益(여제익: 여러 친구들과 함께)라는 제목으로 『산남의진유사(山南義陣遺史)』169P에 실려 있다. 心作高樓每上欄(심작고루매상난: 마음에 누각을 짓고 매양 난간 위에 올라서) 塵間事業一回看(진간사업일회간: 인간 세상일을 한번 둘러본다.) 民情漸困秦阡陌(민정점곤진천맥: 백성의 살림살이 형편은 토지몰수에 점점 곤궁해지는데) 俗尙何亡漢服冠(속상하망한복관: 풍속은 어찌 옛 의관을 없애려 하는가.) 假道誰諫全城陷(가도수간전성함: 철도를 빌려주면 전국이 함락된다 간할 사람 누구인가.) 一曝難防十日寒(일폭난방십일한: 하루 따뜻함을 취하면 십일의 추위를 막아낼 수 없다는 것을) 林泉居士如能數(임천거사여능삭: 은자(隱者)의 정원에 숨은 선비를 헤아릴 것 같으면) 五百年猶運未闌(오백년유운미란: 오백 년 운수가 아직은 다하지 않았는데...) 정용기(鄭鏞基) ① <山南倡義誌 卷下 14~16p> 자(字) 관여(寬汝), 호(號) 단오(丹吾)요, 동엄공(東广公) 환직(煥直)의 아들이다. 철종(哲宗) 임술(壬戌:1862)년 12월 13일에 경상도 영천 검단리에서 태어났다. 성품이 활달하고 다른 사람보다 힘이 넘쳤으며, 뛰어난 재주가 뭇 사람들을 뛰어넘어 배움에 애쓰지 않았음에도 학문과 덕행을 일찍이 통달하여 서(書)·화(畵)·음(音)·률(律)에 통하지 않는 것이 없었다. 나이 15세에 김산 봉계(金山 鳳溪)1)에 임시로 거주하였는데 바로 병자(丙子:1876)년 큰 흉년이 든 해다. 각지의 굶주린 백성이 흩어져 수십 명의 고아가 거리를 방황하거늘 마을의 빈집을 수리하여 그들을 쉬게 하고 마을 사람들에게 구휼할 것을 권하니 마을의 연세 많은 어른이 그 의로움에 놀라했다. 또 죽장 창리2)에 옮겨 살았는데, 그 때 아버지가 서울로부터 내왕하면서 여강 이씨 능경, 능종 형제와 함께 좋은 벗이 되었다. 공(公) 역시 한구와 여러 종형제들과 함께 어울리니 양세(兩世)가 교분을 나눔은 친척과 같았고, 특히 한구와는 사생(死生)의 의3)를 맺었다. 고향마을에 돌아오니 한구 역시 이웃에 뒤따라와서 살았고, 재종제(再從弟) 순기도 흥해로부터 와서 한 동네에 살게 되었다. 세 사람이 아침저녁으로 서로 심방하여 베개와 자리를 붙이고 동고동락(同苦同樂)하니 당시 사람들이 한(漢)나라의 도원(桃園)4)에 비하였다. 아버지 동엄 공(公)이 여러 해를 벼슬에 머물러 서울에 살게 되었는데 그때는 세계열강이 우리나라와 상호 교통하던 시절이었다. 국권을 제멋대로 훔치고 엿보는 자들이, 앞을 다투어 침입하여 삼켜서 합병하려는 외세의 좋은 미끼가 되어 국가 위급존망의 때임을 알 수 있다. 순기가 벼슬을 구하고자 하거늘 그를 말리면서 말하기를 “이와 같은 복잡한 시기에 어찌 스스로 구구한 직책의 그물에 걸려 시대의 잘못을 바로잡아 볼 것을 생각하지 않는가.” 순기가 생각을 돌이켜 그만두었다. 왕실의 기운이 쇠퇴하는 것을 보고 스스로 가슴에 쌓인 울분을 이기지 못하여 동지들과 함께 종로에서 순회강연을 하였는데, 옛날 충의지사(忠義之事)를 인용하여 권장하니 듣는 이들이 감격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을사(乙巳:1910)년 10월 19일은 왜적이 강제로 조약을 맺은 날이다. 민충정공(閔忠正公) 영환이 순절한 후에 빈청(殯廳)에 혈죽(血竹)이 났다. 그 혈죽을 보고 혈죽시(詩) 6수, 탄사(嘆詞) 3장, 가(歌) 1장을 지어 세상에 반포하고, 또 흥화학교(興化學校5)) 생도 등과 민공(公)을 추도하는 기념가를 지었다. (계속) 각주) 1) 김산 봉계(金山 鳳溪) – 김천시 봉산면 예지리 봉계마을 2) 죽장 창리(竹長 倉里) - 포항시 죽장면 현내리 3) 생사지의(死生之義) - 죽음을 함께 하겠다는 굳은 의리 4) 한지도원(漢之桃園) - 삼국지에 나오는 유비, 관우, 장비의 도원결의 5) 흥화학교 – 1898년 11월 5일 특명전권공사로 미국과 유럽 여러 나라를 둘러보고 온 민영환(閔泳煥)에 의해 외국어와 선진 기술 보급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설립 초기 주·야학 과정을 개설하고, 입학시험을 통해 국·한문 해득자(解得者) 위주로 학생을 선발하였다. 초등교육보다는 중등교육을 목적으로 영어, 산술, 지지, 역사, 작문, 토론, 체조 등을 교육하였다.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2 08:02:41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