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실에 있어보면 60대 이상의 어머님들이 주로 손목이 골절된 경험을 가진 경우가 많은데 넘어지면서 바닥을 손목으로 짚을 때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는 거의 골절이 발생한다.
골다공증은 뼈의 칼슘이 빠져나가 골량이 줄어들면서 뼈에 구멍이 숭숭 뚫리는 병으로 심해지면 통증과 함께 골절이 잘 일어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골다공증은 주로 갱년기 이후의 여성들에게서 많이 나타나지만 무리한 다이어트로 인한 영양의 불균형으로 20-30대의 젊은 여성들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남자들도 지나친 흡연이나 음주 스트레스 만성피로나 노화 등의 원인으로도 골다공증이 유발될 수 있다.
골다공증은 요통이나 팔다리뼈의 통증이 주요증상이며 팔목이나 발목골절 척추부분의 증상이 잘 발생되기도 한다.
골다공증은 일조량이 적은 겨울철에 더 잘 생길 수 있지만 요즘은 지나친 햇볕차단이나 인위적인 자외선 차단제의 과다 사용으로 골다공증을 생기게 할 수 있으므로 적당한 햇볕에의 노출이 필요하다.
한의학적으로 골다공증은 骨萎라고 하며 腎陰虛나 腎陽虛 氣血虛 肝腎虧虛 등의 범위에 해당한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뼈나 관절을 주관하며 각종호르몬의 작용을 관리하는 콩팥의 기능이 약해지면서 몸속의 진액을 마르게 해서 생겨날 수 있다.
골소실이 일어나면 정상으로 회복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며 폐경이후부터는 증상이 없어도 관리를 시작해야 한다.
한약에서 골량을 증진시키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약제로는 우슬 두충 녹용 녹각등의 약물이 여러 논문에서 발표되고 있다.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식사가 중요하다. 뼈째 먹는 작은 생선 콩 해조류 참깨 우유 등 칼슘이 많이 든 식품과 버터 계란 간 표고버섯 등 비타민D가 많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등산이나 걷기 자전거타기 에어로빅 등의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햇볕을 적당히 쬐어주고 흡연이나 음주 커피 등의 기호식품도 적당하게 조절해주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