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강 상태를 보이던 코로나19가 지난주 잇달아 6명의 확진자가 나오면서 긴장감을 주었다. 우리같이 도농복합도시일수록 인간관계에 따른 결속과 교류가 많다보니 전염병의 확산이 언제 빠르게 건너뛸 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간간히 한두 명씩 지역 사람이나 외부 사람에 의해 올라가던 확진자 수가 86번까지 도달했다.
갑작스레 평소에 하던 활동에 제약을 받다 보니 주민들 사이에서 서로를 경계하는 눈치가 심하지만 코로나는 이제 일상이 됐다. 직장과 경제적 활동, 더구나 인간관계까지 모두 단절하지 않고서는 쉽게 잡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백신과 치료제가 보편화될 때까지는 그저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서로 조심스럽게 대처하는 것이 최선이다. ‘너 때문에 우리가 이렇게 됐다’며 무조건 비난하고 배척만 하는 것은 도움이 안 된다.
그런 시각으로는 방역과 조치, 차후 일상으로 복귀하는 데에도 너무나 큰 걸림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무분별한 행동에 책임과 비난이 뒤따르는 것은 당연하지만 가까운 지인과 이웃이 걸리기 쉬운 코로나로 인해 인간관계까지 파괴되고, 사회적 갈등과 치유할 수 없는 반목이 발생돼서는 안 된다. 서로 부대끼며 살아가는 농촌 도시일수록 그렇다.
75세 이상 어르신들의 화이자 백신 접종이 2차에 걸쳐 어느 정도 끝났다. 우리 시의 1차 접종률(화이자 및 아스트라제네카)은 총 대상자 1만9749명 중 1만4982명이 접종해 75.9%의 접종률을 보이고 있다.
이제 방역은 만 60~64세 연령층과 30세 이상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초등학교 1~2학년 교사들을 대상으로 접종을 위한 사전 예약을 받고 65∼74세는 오는 27일부터 접종이 시작되는데 백신 기피현상과 예약률이 저조해 당초 목표대로 될지가 미지수다.
경찰·소방관 등 사회 필수인력에서도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정부는 80%까지 예약률을 목표로 하지만 희귀혈전 생성 부작용 논란을 빚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탓이다.
정부는 불안감을 조성하는 허위정보라며 모두 가짜뉴스라고 지적하지만 그런 말로 백신 불안을 잠재울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정부는 백신 이상반응이 0.1%밖에 되지 않는다고 하지만 많은 시민들은 불안하다.
왜냐하면 그 0.1%가 나와 내 가족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앞서 대상포진 예방주사를 맞을 시민에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사례처럼 매뉴얼을 어겨가며 접종 사고라도 낸다면 접종 기피증은 더 심해질 게 뻔하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이 접종 후 중환자실에 입원하거나 이에 준하는 질병이 발생한 사례 중 피해조사반이나 피해보상전문위원회에서 ‘근거자료 불충분’으로 인과성을 인정받지 못한 경우 의료비를 지원하는 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인과성이 인정되기 어려운 사례 중에서도 ‘백신보다 다른 이유에 의한 경우’이거나 명백히 인과성이 없는 경우는 지원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 지원금은 1인당 최대 천만원이며 시행일 이전 접종자에게도 소급 적용된다.
이런 정부의 전향적인 대책에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백신 접종을 늘리는 것이 최선의 길이라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고 주민들도 호응해 접종률을 끌어올려야 한다.
이제 곧 위탁 의료기관들에서 예방접종이 시작된다. 위탁 의료기관들도 접종 대상자의 안전을 오롯이 책임진다는 각오로 접종 매뉴얼을 철저히 준수해야 할 것이다.
일상이 된 코로나 시대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예방접종에도 적극 동참해 마스크 벗을 수 있는 날을 앞당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