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도병상건립을 두고 영천시와 학도병기념사업회간 법적다툼으로 비화되는 등 지역사회가 시끌하다.여기에다 ‘조속한 허가’를 요구하는 국민의힘 소속 영천시의원들까지 가세하면서 정치적 논쟁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18일에는 영천민주단체협의회가 ‘숭고한 학도병의 희생을 왜곡하는 일체의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의 성명서를 내면서 학도병상건립을 두고 지역사회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 18일 영천시농민회 등 영천지역 10여개 단체로 결성된 영천민주단체협의회는 숭고한 학도병의 희생을 왜곡하는 일체의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배포했다.
이 단체는 성명서를 통해 ‘한국전쟁 당시 문재인 대통령의 부친을 영천에서 학도병이 잡았고, 그 영웅적 행위를 기리기 위해 영천에 제1호 학도병상을 설치하자’는 것은 삼류소설 깜도 안 되는 허무맹랑한 이야기인데 여기에 국민의힘 소속 시의원들이 부화뇌동하고 있어 영천시민으로 낯 뜨거워 고개를 들 수가 없다”고 밝혔다.
또 굵직한 국책사업과 영천시민들의 삶에 밀접한 일에는 말 한마디 없던 국민의힘 소속 영천시의원들이 집단 기자회견을 굳이 학도병상과 관련해 하는 모습이 어색하고 불편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성명서에는 “민족의 아픔인 정신대 할머니들을 몸 파는 매춘부라 말하며 평화의 소녀상 철거를 요구하는 극우 보수 세력을 지역에 끌어들여 영천시청 앞에서 집회까지 하고 있으니 도저히 두고 볼 수 없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영천민주단체협의회는 △유언비어로 때 아닌 빨갱이 논쟁 행위 중단 및 사과 △이념 대결로 부추겨 영천시민 분열 행위 중단 △국민의힘 소속 의원 영천시민의 민생에 신경 쓸 것 △일부 언론에 사실에 기반한 정론직필 등 4개 항목을 요구했다.
앞서 지난 11일 국민의힘 소속 조영제 영천시의회 의장을 포함한 시의원 7명은 자신들의 명의로 “호국의 성지인 영천전투호국기념관에 6.25 참전 영웅인 학도병들의 숭고한 정신과 투철한 애국심을 기릴 학도병상 설치를 원한다”는 내용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입장문에는 6.25 전쟁 당시영천전투의 결정적 승리가 불리했던 전쟁의 판도를 극적으로 역전시키는 구국의 일전”며 “여기에는 학도병들의 희생이 있었고, 그 헌신을 기리고 호국충효의 정신을 계승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학도병상 건립과 함께 육군3사관학교, 국립호국원, 영천전투호국기념관을 호국성지 순례 코스로 만들어 전국 학생들의 애국심을 키우고 영천을 널리 알리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사태를 지켜보는 시민들은 불안감 속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지역 시민단체의 한 회원은 “학도병상 설치를 두고 대립 양상을 보이며 지역 발전과 관계없는 소모적 진영 논쟁을 벌이는데 안타깝다. 서로 냉정함을 유지해 조금씩 자제하며 소통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영천시 보훈단체 관계자도 “일부에서 보훈단체가 주관해서 추진하라는 주문이 있는 줄 안다”면서도 “사업추진에는 예산이 수반돼야 하고 그럴려면 기금을 모금하던지 해야 하는데 지금은 코로나 때문에 보훈회관도 페쇄돼 있다. 조만간 여건이 돼면 협의회장단 회의를 거쳐 의논해 보겠다”며 원론적인 입장을 내놨다.
한편 학도병기념사업회는 고경면에 있는 영천전투호국기념관 부근에 학도병상 설치 신청서를 영천시에 접수했지만 부결돼 화북면 정각리 한 개인 농지에 불법 학도병상 설치를 강행하는 등 갈등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