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연말부터 연초까지 분열로 치닫던 국민의힘 내부와 선거대책위원회의 대혼돈을 지켜 보면서 지지여부를 떠나 참으로 안타깝다는 생각과 한심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원팀’을 이루지 못한 국민의힘의 위기는 어디까지일까.윤석열 후보와 이준석 대표 쪽의 애매한 갈등. 지난해 12월3일 ‘울산 회동’으로 1차 잠행이 마무리된 지 17일 만인 12월20일 이 대표는 선대위 보직 사퇴 뜻을 밝혔다. 리스크는 당 밖에서 선대위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를 내놓으며 힘을 빼놓을 김종인 전 위원장을 포함한 당 외곽에도 존재한다. 국민의힘의 낯부끄러운 권력투쟁 불협화음과 혼란이 설까지 이어진다면 게임은 끝난 것이다.이런 측면에서 정치의 기본 몇 가지를 생각해 보면 답이 나온다. 그 첫째가 당내 경선에서 경쟁자였던 홍준표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의 지지를 얻어내는데 공을 들여야 한다. 안그래도 혼란스러운 상황에 더 갈라진다면 전략이고 뭐고가 없어진다. 정권교체의 여론이 아무리 거세도 불협화음이 새나가면 눈살 찌푸리고 그런 일이 이어지면 궤를 같이하는 이들도 피로도를 넘어 염증을 느낄 것이다. 문제는 위기가 아니라 그것에 대응하는 방법이다. 둘째로 선거에는 ‘운칠기삼’의 공식이 적용되기 마련이다. 이런 공식을 믿지 못한다는 이들도 있겠지만 3인 ‘기’가 핵심이라고 정치권 사람들은 말한다. 기회는 누구에게나 올 수 있지만, 기회가 주어졌을 때 준비된 자만이 왕관을 쓸 수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정치 신인인 윤 후보의 능력이나 자질은 검증될 기회도 많지 않았지만 매스컴으로 비쳐지는 모습만 보면 준비부족이 여실히 드러나 보인다. 셋째, 가능성이 없어 보이지도 않지만, 지역민들의 바람은 아닌 것같은 야권 단일화 문제다. 국민의힘 쪽에서는 당연히 그 쪽으로 단일화 되기를 바라지만 지금처럼 지지율이 오락가락 하는 상황이라면 단일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힘들다. 단일화가 결정적인 변수라는데는 별다른 이의가 없다. 하지만 단일화 가능성에 의문이 많고 그렇다면 반전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지켜보겠지만 한 달여 남은 상황에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누구도 장담하긴 어렵다. 한 가지 분명한 건 늘 그렇듯이 정치는 ‘가능성의 예술’이다. 그 외에도 불안의 그늘은 숱하다. 윤 후보와 이 대표의 극적인 봉합 데땅트가 마음에서 우러난 진정성 있는 행동인 지 모르기 때문이다. 위에 열거한 내용들은 비단 중앙정치에만 적용되는 문제는 아니다. 대선이 끝나면 지방선거가 곧이어 실시된다. 따라서 지역 정치인들도 타산지석으로 삼았으면 좋겠다. 선거에서 유권자들 마음의 문을 열려면 그 문에 맞는 열쇠가 있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후보자의 능력과 자신감, 겸손함이다. 이기고 싶다면 이런 기본적 자질을 잊으면 안된다.‘지도자는 고개를 숙일때마다 성장한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정치인의 겸손함을 일컫고 결국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말이다. 이번 대선에서 유권자들이 바라는 후보의 자격 중 하나가 유능함이지만, 그 유능함도 선을 넘으면 자칫 교만과 독단으로 보일 것이다. 지역 정치인들이 배워야 할 것들도 바로 이 지점이다. 세월은 변했고 국민들의 의식과 눈높이는 점점 높아져 가는데 그것을 따라 가지 못하는 정치 현실을 보면서 실망감이 크다. 그런 실망감을 갚기 위해서라도 자숙하고 자중하는 자세가 필요한 데도 큰소리 치거나 나는 아니라는 식의 태도를 보이면 실망감을 넘어 황당하다고 해야하나. 대한민국이 다 아는 사실을 지역 정치인들만 모른다면 당사자도, 주민도 불행할 뿐이다. 중앙정치에 나라와 역사가 요구하는 진정한 지도자가 필요하다면, 지역에도 미래를 고민하고 지역이 요구하는 지도자가 나와야 한다.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1 23:24:50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