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은 살아 계신 어른이나 돌아가신 영혼에게 경의를 표하는 최고의 예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예절 중의 하나인 절을 하는 모습이 각 지방과 가정, 사람에 따라 다르다고 한다.절은 몸을 굽혀 공경(恭敬)을 표시하는 인사방법으로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지켜야할 많은 예절 가운데서도 상대편에 대한 공경과 반가움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행동 예절이다. 얼마남지 않은 민족의 대명절 설을 앞두고 예의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세배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편집자주]어른들 앞이나 행사에 참여했을 때 바른 자세로 서거나 앉을 때 하는 손의 모습이 있는데 이것을 공수(拱手)*라고 한다.* 공손하게 두 손을 맞잡는 것을 공수라고하며, 평상시 남자의 공수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두 손을 포개어 잡고 여자는 그와 반대로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포개어 잡는데 손가락사이는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평상시에는 남좌여우(男左女右) 남자는 왼손, 여자는 오른손 공수를 하지만 흉사 시에는 남우여좌(男右女右)로 공수 손 모습을 반대로 바꾸어야 한다.* 공수 할 때 위로 가는 손의 손바닥으로 아래 손의 등을 덮어서 포개어 잡으며 두 엄지손가락이 교차되게 한다.* 섰을 경우는 소매가 넓은 예복을 입었을 때는 소매가 가지런하게 공수한 팔이 수평이 되게 올리며, 소매가 좁은 평상복을 입었을 때는 공손한 손이 자연스럽게 배꼽부위에 놓이게 한다.* 앉았을 때는 남자는 공수한 손이 양 다리의 가운데 놓이게 하고 여자는 오른쪽 다리위에 놓는다.절의 종류와 대상-큰절남자의 큰절을 계수배(稽首拜), 여자의 큰절은 숙배(肅拜)라고 하며, 답배하지 않아도 되는 어른에게나 큰 의식행사 때 한다. (직계존속, 배우자의 직계존속, 8촌 이내의 연장 존속, 의식행사)-평절남자의 평절은 돈수배(頓首拜), 여자의 평절은 평배(平拜)라고 하며, 평절로 답배하는어른이나 동년배 사이에 한다. (선생님,연장자, 상급자, 배우자, 형님, 누님, 시숙, 시누이,올케, 제수, 친구)-반절남자의 반절은 공수배(控首拜), 여자의 반절은 반배(半拜)라고 하며, 웃어른이 아랫사람에게 답배할 때 하는 절이다. (제자, 친구의자녀, 자녀의 친구, 남녀동생, 8촌 이내의 10년 이내 연장자 비속, 친족이 아닌 16년 이상의 연하자)남자의 절-남자 큰절의 기본 동작① 절 받을 분을 향해 공수한 자세로 선다.② 공수한 손을 그대로 내려서 바닥을 짚는다. ③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④ 오른쪽무릎을 왼쪽 무릎과 가지런히 꿇는다. ⑤ 발등을 바닥에 대고 엉덩이를 내려 발뒤꿈치 둘사이에 깊이 내려앉는다. ⑥ 팔꿈치를 바닥에붙이며 공수한 손등에 이마를 댄다.(갓을 썼을 때는 갓테가 바닥에 닿을 정도) ⑦ 머리를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떼어낸다. ⑧ 엉덩이를 들면서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운다. ⑨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서 세운 무릎 위에 얹는다. ⑩ 일어나서 공수하며 바르게 선다.-남자 평절의 기본 동작평절은 큰절과 하는 방법은 비슷하다. 다만 이마를 대고 하나, 둘, 셋을 세고 일어나면 큰절이고 세지 않고 곧바로 일어나면 평절이 된다.-남자 반절의 기본 동작반절은 웃어른이 아랫사람의 절에 답배하는 절로 반절은 평절을 약식으로 한다고 보면 된다. 또는 앉은 채로 손과 상체의 동작만으로 하게 된다.여자의 절-여자 큰절의 기본 동작① 공수한 손을 어깨높이로 수평이 되게 올린다. ② 고개를 숙여 이마가 손에 닿을 정도로 숙인다. ③ 왼발을 뒤로 살며시 내면서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④ 오른쪽 무릎을 왼쪽 무릎과 가지런히 꿇는다. ⑤ 발등을 바닥에 대고 엉덩이를 내려 발뒤꿈치 둘 사이에깊이 내려앉는다.⑥ 허리 펴고 바로 앉았다가허리를 반쯤(약 45도) 앞으로 숙여서 잠시(약2~3초간) 머무른다. ⑦ 천천히 머리를 들면서 바로 앉는다. ⑧ 엉덩이를 들면서 발가락을 세우고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워운다. ⑨천천히 일어나면서 두 발을 가지런히 모은다.⑩ 공수한 손을 내리면서 윗몸을 앞으로 조금숙여 굴신례를 한다.-여자 평절의 기본 동작① 공수한 손을 풀어 양옆으로 내린다. ②왼발을 뒤로 살며시 내면서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③ 오른쪽 무릎을 왼쪽 무릎과 가지런히 꿇는다. ④ 발등을 바닥에 대고 엉덩이를 내려 발뒤꿈치 둘 사이에 깊이 내려앉는다. ⑤ 손가락 끝이 밖을 향하게 무릎과 가지런히 바닥에 댄다. (이때. 손바닥을 다 짚지는않는다.) ⑥ 허리를 약 30도로 천천히 숙인다.⑦ 천천히 허리를 일으키면서 손바닥을 바닥에서 떼고 바로 앉는다. ⑧ 엉덩이를 들면서발가락을 세우고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운다.⑨ 천천히 일어나면서 두 발을 가지런히 모으면서 공수한다. ⑩ 윗몸을 앞으로 조금 숙여굴신례를 한다.-여자 반절의 기본 동작 반절은 앉은 자세에서 앉은 채로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바닥을 짚고 답배한다.절 받는 예절절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받는 예절도 중요하다. 절을 받을 분이 자세가 되지 않았거나 절을 하는 사람에게 상응한 답배를 하지 않으면 오히려 무례이다.1) 절을 할 아랫사람을 만나면 편안한 마음으로 절을 할 수 있도록 절 받을 자세를 취해준다. 2) 누워 있었으면 일어나고, 음식을 먹던 중이면 상을 한쪽으로 비켜놓고 불안정한 위치라면 편리한 장소로 옮겨 좌정한다. 3) 절할 아랫사람의 건강, 복식, 상황에 따라 절을 하지 말라 권해도 된다. 4) 절하는 상대에 따라 맞절을 할 처지이면 평절로 맞절을 한다. 맞절은 기본 동작에 맞게 정중하게 해야 한다. 5) 반절로 답배할 상대에게는 간략하게 해도 된다. 6)친척 관계가 아닌 아랫사람의 절에는 상대가미성년이 아니면 반드시 상응한 답배를 한다.미성년의 경우는 칭찬을 겸한 덕담을 한다. 7)꼭 절을 해야 할 아랫사람에게 절하지 말라고 지나치게 사양하면 오히려 실례가 된다.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1 15:55:11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