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지방선거가 한 달도 채 남지 않았다. 전국적으로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을 비롯해 기초의원까지 후보들의 윤곽이 드러나면서 유권자들의 관심이 서서히 고조되고 있다. 우리 지역에서 뽑는 지도자는 광역자치단체장과 지방자치단체장, 그리고 시‧도의원과 교육감 등이다. 이번 선거로 앞으로 4년간 지역의 운명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그 어느 때보다 주민들의 높은 관심을 보여야 하는 시간이다. 특히 올해는 대통령선거를 치르고 곧바로 지방선거를 하게돼 자칫 유권자들의 관심이 떨어질까 우려되는 상황이다. 아직 식지 않은 대선 여파로 지방선거가 중앙정치의 여야 대리전 양상으로 옮겨가 거대 양당들이 모두 서울, 경기 등 주요 광역 시‧도를 이번 지방선거의 최대 격전지로 설정하고, 형식적 경선 절차를 거친 전략 공천도 불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유력 후보들 중에서는 지역 연고도 없고, 지역 실정도 모르는 인사가 거명되고 있는 등 벌써부터 유권자들이 또다시 지방정치가 중앙정치에 예속되는 상황을 지켜보면서, 특히 우리 지역 같은 경우 인물보다 정당 위주의 사천에 가까운 줄 세우기 선거에 내몰리고 있다고 걱정하는 경우도 본다. 이렇듯 일부 중앙 정치권이 지방자치 선거를 정당정치의 범주로 삼아 정당 공천을 고집하다 보니 최소한 기초선거만이라도 원래대로 공천을 없애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지도 오래다. 사실상 풀뿌리 지방자치 정신에 어긋나는 지방의회 후보자 공천은 재고하고, 지방선거 공천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이런 가운데서도 지난 주 4월 28일과 29일 양일간에 당원과 일반시민 여론조사로 진행된 국민의힘 영천시장 후보 경선에서 박영환 전 경북도의원이 최종 후보가 됐다. 연이어 지방의회 의원들의 선거 대진표도 거의 짜여지고 있다. 문제는 본격적인 대결을 앞두고 각종 의혹 제기와 후보자들간의 과열 경쟁으로 공방이 이어지면서 유권자로 하여금 피로감을 느끼게 하는 네거티브 선거전략은 좀 없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지역의 중요한 일꾼을 뽑는 선거가 각종 의혹 제기로 몰아가는 네거티브라면 정책과 비전 이야기는 결국 묻히고 만다. 따라서 이런 의혹 제기나 상대방을 비난하는 네거티브 전략은 일부 자기네 캠프 관계자들이나 열성 지지층에게는 관심을 끌지는 모르지만 일반 유권자들에는 피로감만 높일뿐이다. 특히 이번 선거는 서로간 흠집내기가 아닌 정책과 비전 대결로 몰아가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하다. 허위사실 유포나 금권선거 주장, 마타도어 등 네거티브로 선거운동원은 물론 일부 시민들 사이에도 반목하며 선거 양상이 과열되면 갈등으로 이어진다. 또 대화와 소통을 통한 협의·협력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정치혐오로 이어져서는 절대 안될 일이다. 이제 지방선거는 주민자치‧지방정치가 구현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지방자치 정신에 따라 정당 공천제도 배제를 약속하고, 다당제 실현을 위한 중대선거구제 확대를 실현해야 할 노력이 꼭 필요하다고 주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