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지방선거를 일주일 남짓 남겨두고 시내는 물론 시골 농로에도 로고송이 울려 퍼지면서 선거 열기가 가득하다. 이번 지방선거가 수도권에서야 대선의 연장전이라며 승부를 보겠다는 각오지만 우리 지역에서는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돼도 조금은 싱거운 싸움을 벌이고 있다. 저마다 지역발전을 책임지겠다고 나선 후보들이 각자의 생각으로 지역발전 방안과 선심성 복지공약을 들고 나왔다. 하나같이 귀가 솔깃한 공약들이지만 예산이 얼마나 들어갈지, 재원을 어떻게 마련할지에 대해서는 말이 없다.민선 지방자치 시대가 열린 지 27년이 됐다. 자치와 분권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소명이지만 지나친 중앙집권적 정부운영 형태에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방 소멸이나, 사회적 갈등을 포함 지역사회 위기 해결은 여전히 어렵다. 지방정치의 고유 영역은 최대한 살려야 하는데 공천권을 행사하는 중앙정치가 오히려 지방자치를 저해하고 있다. 지방의회에 도전하는 후보자 자질도 문제다. 이번에 지역에 기반을 둔 출마자 28명중 13명이 전과 1건 이상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어떤 후보는 전과가 12건이다. 내용도 음주운전은 기본이고, 상습도박에 폭행까지도 있다. 선출직이던 비례던 공직자에 대한 시민들의 눈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공천 과정에서 도덕적인 잣대가 엄격해야 한다던 정당들도 촘촘하기는 커녕 기준에 터무니 없이 미흡한 후보가 공천된 것으로 확인됐다.이러니 자구책으로라도 우리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고 질을 높일 수 있는 바람직한 정책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비전을 제시하는 인물을 뽑아야 한다. 중앙이 족쇄를 채워 놔두지 않는다면 우리만이라도 유권자의 믿음을 얻는 진정한 승리자들을 만들어야 한다. 그럴려면 그저 표만 얻으면 된다는 생각에 사탕발림 공약으로 혹세무민 하는 정치인을 뽑으면 큰일난다. 네거티브가 없는 공정한 분위기 속에서 현실성 있는 공약과 페어플레이로 유권자 심판을 받도록 하는 책임있는 자세도 보여야 마땅하다. 유권자의 선택 기준이 당리당략이나 인정보다 지역발전과 사람에게 있어야 한다. 외적인 것에 이끌려 내적인 것을 소홀히 하는 오류는 돌이킬 수 없는 과오가 됨을 알아야 한다. 각 후보가 취하는 정책방향, 실현 가능한 공약인지를 보고 선택하는 것이지 현란한 말 따위에 휘둘릴 일이 아니다. 물론 지방선거를 치른다고 당장에 지역민의 삶의 질이 올라가고, 지역 발전이 한꺼번에 쑥 따라오는 것이 아니라는 것쯤은 알고 있다. 그렇지만 주민들이 뽑은 사람들의 역량과 활동성과에 따라서 발전이냐 아니면 퇴보냐는 선거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누가 지역발전을 위해 진정으로 일할 사람인지 당파를 넘어 진짜 일꾼을 가려내야 한다. 그것만이 수준있고 업그레이드된 유권자의 자질과 인품이 되고, 그것이 영천의 미래다. 지금부터라도 꼼꼼하게 살펴보자. 이번 선거만큼은 제발 격조 있게 제대로 일할 사람을 찾아보자. 변화를 바란다면 민주 시민의 의무를 다하자.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2 08:26:25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