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많은 시민들이 풍수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 이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2016년 1월부터 2020 년 말까지 약 5년간에 걸쳐 “재미있는 풍수이야기” 를 연재 하였는바 독자들의 재요청에 의하여 이번 주 부터 또다시 풍수지리 전문가 양삼열(楊三烈)교수의 글을 연재한다. 이 글을 통해 올바로 정립된 풍수학 문의 전달과 풍수인식에 대한 잘못된 사고 등 풍수전 반에 관한 유익한 정보와 지식을 전달함으로서 애독 자 여러분들의 일상생활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 해 본다. 충남 예산군 대흥면에 가면 대구서씨 시조 서한(徐 )의 묘가 있다. 대구서씨 는 서진(徐晉)을 시조로 하는 달성서씨 와 뿌리가 같지만 분파된 시기에 대해 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다. 후에 서울에 올라와 벼슬을 한 서한의 후손들과 고 향에 남아 세거한 서진의 후손들이 경 파(京派)와 향파(鄕派)로 갈라져 분파 하였다고도 한다. 근원이 같고 달성이 대구의 옛 지명이기도 하여 혼동되기 도 하지만 엄연히 본관이 다르고 대동 보도 따로 만들어져 있다. 이 묘는 실묘 (失墓) 되었다가 조선 초에 들어와 후손 서거정이 찾았으나 또 다시 실묘된 후 숙종 때 다시 찾았다. 시조 묘를 찾아낸 재미있는 일화가 전해져 내려온다. 서 거정은 어느 날 그의 매형을 찾아가 실 묘된 선대 묘소를 찾아봐 달라고 부탁 을 했다. 매형은 항상 그 말을 염두에 두고 생활하다가 어떤 동네를 지나가는 데 한 아낙이 아들과 나눈 대화를 듣게 된다. “얘야 소를 어디에다 매어 두었느 냐” 하니 “저 산 넘어 서거정 산소에다 매어 두었습니다.”고 한다. 그 말을 듣 고 깜짝 놀라 아이를 앞세워 그곳으로 가보니 소가 매어져 있는 곳엔 오래된 무덤이 있었다. 다음날 하인들을 데리 고 산소에 가서 주변을 파보니 오래된 대구서씨 시조묘를 알리는 비석이 묻혀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또한 문중의 시 조묘엔 대부분 얽힌 얘기가 많지만 이 곳 서한의 묘소에도 재미있는 일화가 있다. 서한이 죽고 장삿날 상여가 장지 로 떠날 때 한 노승이 나타나 고개를 절 래절래 흔들면서 이 어른이 묻힐 곳은 따로 있으니 나를 따라오시오 하였다 고 한다. 그리고는 마을을 지나 산 중턱 에 도착한 스님이 말하기를, 여기는 천 하 대길지 해복(蟹伏)혈로 이곳에 장사 지내면 자손이 크게 번창하고 부귀영화 를 누릴 것이다. 그러나 큰 부는 기대하 지 마시오. 하고는 떠났다고 한다. 실제 이곳은 해복혈로 이름난 곳이 라 풍수인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다 녀왔을 법한 곳이지만 사람마다 형국 을 달리 보는 경우가 있어 풍수적 견해 가 분분한 곳이기도 하다. 전형적인 해 복혈은 뒤의 산이 게의 등처럼 펑퍼짐 해야 하고 안산은 물고기나 게의 거품 을 상징하는 산형이 되거나 앞쪽에 게 가 생활할 수 있는 연못이나 하천이 있 어야 짝이 되어 형국이 이루어진다. 이 묘소는 산의 중상부에 위치하기 때문 에 밑에서 보아 좌측편에 100여개가 넘는 돌계단을 밟고 올라가야 묘소에 도달할 수가 있다. 현장에 올라보면 뒤 쪽은 실제 게의 등처럼 둥그스름한 금 형산이고 앞쪽에는 게들이 헤엄칠 수 있는 인공연못을 조성해 놓았다. 풍수 에서는 게는 새끼를 많이 치기 때문에 이런 곳에 묘를 쓰면 후손이 번성하고 골고루 복을 받으며 대학자나 벼슬아 치들이 많이 나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 리고 물을 곧 재물로 보기 때문에 묘의 위치가 높은 곳이라 물이 귀하여 큰 부 (富)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도 해석한 다. 반면 이러한 곳은 귀(貴)의 발복이 크기 때문에 조선조에서 6조판서와 대 제학을 지낸 서거정과 그의 종 현손인 서성, 그리고 그의 네 아들을 중심으로 한 3정승과 대제학, 판서 등 수많은 인 제들이 배출된 명문가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