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내 중국 이야기는 중국 문화 중, 중국의 다양한 민족 문화에 대한 이야기이다.
중국에는 90% 이상의 한족과 55개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윈난성[雲南省]에 96%가 거주하는 리수족()을 소개하려고 한다.
《中国统计年鉴-2021》의 자료에 따르면 762,996명으로 비교적 적은 수의 소수민족에 속한다.
리수족()은 자칭 및 타칭 모두 “리수(, 는 고귀하다(貴)이고 는 사람을 가리킴)”이며, 몽골 인종 남아시아 유형에 속하며, 민족 언어는 한티베트어(汉藏语) 계통의 티베트버마어파(藏缅语族)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원시 종교를 믿는다.
리수족의 부녀자 복장은 보통 두 가지인데, 하나는 짧은 상의를 입고 아래에 꽃무늬가 가득한 치마를 입으며, 다른 하나는 상의를 입고 아래에 바지를 입고 바지 밖에 치마를 다시 걸친다.
머리에는 홍색 또는 백색의 구슬로 장식을 하고 가슴에는 다양한 색상의 구슬을 꿰어서 만든 목걸이를 걸친다. 남자는 일반적으로 짧은 상의, 바지를 입고 어떤 경우에는 청색 두건을 쓰며 좌측 허리에는 칼을 차고 우측에는 화살 통을 찬다.
또한 남녀 모두 항상 허리에 담배쌈지를 차고 다니는데, 실용적으로 사용하는 것 뿐 아니라 이러한 쌈지가 지위나 신분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리수족은 옥수수를 주식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하루 두 끼의 옥수수 죽만을 먹으며, 밀, 메밀, 쌀 등 마른 음식을 보조식량으로 먹는다.
요리는 재료의 원래 맛을 유지하면서 간단히 조리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음력설이나 손님을 초대하는 잔치 때만 고기를 먹고 차 마시기를 좋아하며 술과 담배도 즐긴다.
리수족의 전통적인 마을은 남향의 배산임수(背山臨水)로 자리를 잡으며 주택은 대나무 집, 목재로 만든 집 및 토담집 등이 있다. 리수족은 마을을 ‘카’라고 부르는데 각 마을은 몇 집의 다른 성씨들로 구성된다. 각 ‘카’에는 ‘추오’라고 부르는 씨족 조직이 있으며 마을에 한 명 이상의 우두머리가 촌락을 자체적으로 다스리는 관습이 있다.
일부일처(一夫一妻) 제도를 갖고 있으며 사촌 간의 혼인이 우선이며 동일한 조부를 모시는 형제 자매간에 결혼할 수 있고 소가정제이다. 대부분 자녀의 결혼을 부모가 결정하지만, 결혼 전에는 청춘남녀 간의 자유연애를 허용한다.
결혼 시에는 신랑 집에서 신부를 데려오는 몸값으로 소를 신부 집에 준다. 결혼 후에는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토지와 생산용구를 가지고 스스로 집을 지어 부모님과 따로 살게 된다. 외동아들은 분가하지 않고 부모의 가업을 계승해야 하며 부모를 부양할 책임을 갖는다.
리수족은 동식물에서 유래한 24개의 성(姓)이 있으며, 평생 두 번 이름을 짓는다. 아들이 태어나면 출생 일주일 째 되는 날에, 그리고 딸이 태어나면 9일째 되는 날에 이름을 붙여준다. 이 최초의 이름은 아이가 태어나는 날 아침, 예를 들면 새가 날면 ‘새가 난다’, 만약 개가 짖으면 ‘개가 짖는다’라는 이름을 붙여준다.
두 번째 이름은 약혼이나 결혼 시에 짓는 성인명이다. 예를 들면, 약혼이나 결혼 선물이 검은 소라면 신랑 이름은 ‘검은 숫소’, 신부 이름은 ‘검은 암소’라고 짓는 것이다. 성인이 된 이후에는 절대로 어린 시절의 이름을 부르지 않는다.
리수족은 토장(土葬)을 숭상하여 사람이 죽으면 목관에 넣고 토장을 하지만, 일부 지방에서는 비정상적으로 사망한 사람에 대해서 화장(火葬)을 한다.
리수족은 전통명절 및 절기가 많은데 청명절(淸明節)과 중추절(中秋節) 같은 한족 명절도 있고 운남성의 지역성 명절인 화파절(火把節) 그리고 개십절(蓋十節)과 도간절(刀杆節) 같은 리수족 고유의 민족 명절을 지낸다.
이외에도 신미절(新米節), 춘욕절(春浴節), 정인절(情人節), 사노회(射弩會) 및 조당새가회(澡塘賽歌會) 등의 전통 명절이 있다. 각 전통명절에는 역사적으로 형성된 의례(儀禮)와 금기(禁忌)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