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군부대 통합 이전을 추진하자 그동안 물밑으로 유치를 추진하던 영천시가 지난 13일 군부대 이전 관련한 상황을 주민들게 보고하는 자리를 열고 유치 활동을 본격화했다.
시는 추진배경을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와 지역경제 활성화로 들었다. 그리고 우리 지역이 경쟁을 하고있는 다른 지자체와 차별화되는 강점, 추진 경과, 향후 계획 등도 함께 설명했다.
알다시피 대구시에는 제2작전사령부·제5군수지원사령부·공군방공포병학교·제50보병사단 등 국군부대가 있고, 미군부대 캠프워크·캠프헨리·캠프조지 등 7개 부대가 있다. 또 이전은 기부대양여 방식으로 추진된다. 군부대가 이전되면 군인과 가족 2만5000~3만 명이 유입되고 일자리창출, 소비촉진, 농산물 납품 등으로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
그날 나온 이야기처럼 우리지역의 강점이라면 철도와 도로 등 교통의 요충지에 육군3사관학교와 제2탄약창 등 군부대 주변 국방부 소유 부지가 많아 활용이 가능한 점 등 많다. 약점도 있다.
그 중에 가장 취약한 것이 주민여론 분열이다. 당장 보고회 현장에서도 나왔지만 이번 군부대 이전 사업은 대구시가 사업주체다. 우리 지역의 입장과 요구도 중요하지만 대구시가 요구하는 부지를 선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우리의 최고 목적은 우리 지역 어느 곳이든 영천에만 유치하면 되는 것이다. 지역 이기주의에 사로잡혀 자기지역만 고집하며 여론을 분열시킨다면 과거 도청유치나 통합 공항 이전때처럼 또하나의 뼈아픈 실패경험만 늘릴수 있음을 잊으면 안된다.
영천의 동쪽에 가장 넓은 땅을 보유하고 있는 고경면으로 유치해야 시내를 통과하면서 영천을 발전시킬 수 있다면서 고경 주민들이 선제적으로 앞장서 유치 서명활동을 하는 것은 고무적이다.
그럼에도 결정권을 가진 것은 우리가 아니다. 대구시가 우리 지역으로 낙점할 때까지는 무조건 한목소리를 내야한다.
자칫 영천 안에서 지역 간 분열로 모든걸 잃고 땅을 치는 일이 없도록 해야한다.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날이 갈수록 지역경제는 위축되고, 커지는 저출산 고령화의 위기 속에서 군부대 이전은 영천발전을 넘어 경북의 대전환을 위한 또다른 모멘텀이 될 수도 있고, 영천이 대한민국의 새로운 일등 도시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라도 군부대 이전을 향한 지역민들의 열정과 간절함이 필요하고, 이번만큼은 지역발전을 위한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고 한마음으로 힘을 모아, 다시 없을 기회를 꼭 붙잡도록 해야한다. 영천시도 지금부터 각계의 사회단체와 주민 간담회 등을 릴레이 형식으로 추진해 군부대 이전에 대한 지역 리더들의 적극적인 역할을 당부하고, 사회적 공감대 형성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대구시는 오는 12월 부지 선정 등 용역 결과를 국방부에 제출하면 내년 상반기쯤 최종 후보지가 결정된다. 현재 우리를 비롯해 상주, 칠곡, 군위, 의성 5개 지자체가 유치를 희망하며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