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国统计年鉴-2021》의 자료에 따르면 124,092명으로 비교적 적은 수의 소수민족이며 대부분 농업에 종사한다. 옥수수, 호박, 고구마, 잡곡 외에 쌀을 주로 생산한다. 경작지가 부족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흙을 금처럼 아끼고 집약적인 경작을 중시하며 윤작, 간작을 자주 시행한다. 소는 마오난 사람들이 밭을 갈고 비료와 장작을 운반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야채, 소를 기르는 것도 마오난(毛南) 사람들의 주요 경제원이 되었다.
마오난족은 다신(多神)이다. 명나라 말 이전에 모남족은 원시 종교를 주로 믿었다. 청나라 초, 정일파의 도교가 모남족 밀집 지역에 전래되었다. 후에 도교는 마오난족 문화와의 합류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했고, 귀신에게 바치는 신들린 무당이 노래하고 춤추는 것을 위주로 한 이른바 ‘무교’를 형성했다. 마오난(毛南) 사람들의 식습관 중 가장 큰 특징은 ‘모든 맛에 식초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소금에 절인 산육(酸肉), 산우렁이(酸螺), 산채(酸菜)를 좋아하는데, 손님을 접대용 전통 요리이다.
마오난족의 거실은 누대(당대(唐代) 만어(蠻語)에서 누대(樓台)를 ‘干栏’이라 했음) 양식이다. 누대 내외는 산장(‘人’자형 지붕 가옥의 양측면의 높은 벽. [이 벽은 지면에서 지붕보다 높게 뻗어 있음] ) 모두 나무, 돌로 틀을 만들었고, 세 칸으로 되어 있는데 중간은 거실이고 양쪽은 곁채(‘正房’의 앞 양쪽에 있는 건물로 동편을 ‘东’, 서편을 ‘西’이라 함)이다. 마오난족의 복식은 인근의 좡족, 무라오족(壮族, 佬族)과 비슷하며 성별, 연령, 계절, 용도, 사회적 지위에 따라 다양한 유형과 스타일을 형성한다. 남녀 모두 남색과 청색의 큰 옷과 가운을 즐겨 입고, 흰 옷은 피하고 장례 때만 입었다. 마오난족은 마오난어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한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간주된다.
모남족의 특이한 문화 중 하나는 여성이 임신하면 가족들은 남자무당(师公)을 불러 귀신을 제사지내도록 하는데 이를 ‘제해(祭解)’라고 하여 임산부가 임신 기간을 안전하게 넘기고 태아가 순조롭게 태어날 수 있도록 한다. 마오난 사람들은 예순이 넘어서 만약에 몸이 허약하고 병이 많으면 민간에서는 ‘도마(倒马)’라고 부른다. ‘도마’는 점쟁이를 찾아가 길일 ‘부마(扶马)’를 선택해야 하는데, 속칭 ‘곡식을 보태고 수명을 보충한다’고 하는데, 과거 마오난 사람들은 늙고 병약해 ‘백가미(百家米)’를 먹으면 하루빨리 건강을 회복하고 장수할 수 있다고 여겼다.
마오난족과 인근 좡족, 한족(壮族, 汉族)과의 공통 춘절, 청명절, 단오절, 중원절, 중양절, 그리고 그들만의 독특한 명절 축제 묘절(庙节)인 분룡절(分龙节)이 있다. 마오난 사람들은 죽은 후 토장(土葬)하여 남자무당(师公)에게 ‘염경송장(念经送葬, 경을 읽고 장지로 보냄)’을 청하였다. 특히 노인의 장례식은 일반적으로 매우 성대하고 장엄하여, 일련의 의식을 거행해야만 비로소 매장할 수 있다.
** 사진 및 자료 출처 : baidu.com, 중국 소수민족 연구 : 소수민족으로 분석하는 중국
** 필자 메이칭의 카페 : http://cafe.naver.com/orangewo8x5(네이버 카페 “메이칭”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