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이후 동장군이라 불리는 북극한파가 이어지면서 서민가구의 난방비 걱정이 커지고 사람들 마음마저 꽁꽁 얼어붙게 하고 있다. 12월 사용분 고지서를 받은 대부분의 가구가 전년과 비교하면 크게 늘어난 난방비에 깜짝 놀라고 있는 터다. 지난해 대비 2배 이상 나온 가구가 적지 않을 것이다. 체감 날씨로 보나 예년 통계로 보나 이번 달에 부과될 1월치 난방비는 이보다 더 늘어날 것이 불보듯 뻔하다. 이번 주도 체감기온이 영하 10도 안팎인 겨울추위가 예보되어 있다. 가뜩이나 고금리와 물가고에 시달리는 서민들로서는 원망스럽기 그지없을 것이다. 추위가 절정인 가운데 혹독한 겨울을 나고 있는 주민들 입에서 난방비도 절정. 주민 불만도 절정이라는 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지마켓 등 인터넷 쇼핑몰에 따르면 문 틈새로 냉기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문풍지와 방풍비닐, 단열시트 등의 판매량이 7배 가까이 늘었다고 한다. 최근 한 열흘 사이 방한용품 수요가 급증한 데는 이런 갑작스러운 한파에 더해 도시가스 요금 인상도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달 ‘난방비 폭탄 고지서’를 받은 소비자들은 보일러 난방을 덜하는 대신 개별 온열이나 단열 강화, 방한 용품으로 겨울나기를 선택한 것이다.
이런 가운데서도 소득이 낮은 에너지 취약계층은 겨울철 에너지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워 충격이 훨씬 클 수밖에 없다.
대통령실과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에너지 취약계층 긴급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에너지 바우처 지원금을 2배로 올리고, 사회적 배려 대상자에 대한 가스요금 할인 폭도 2배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정도로 충분하지 않다. 연탄쿠폰을 늘리고, 등유 바우처를 64만원 지원한다 해도 워낙 인상률이 높고 사용량이 늘어난 탓이다. 물론 중앙정부의 이런 대처가 큰 역할을 하겠지만 그것만 쳐다보고 있을 수는 없다.
지자체 차원에서도 머리를 맞대 에너지 취약계층이 어떻게든 이 겨울을 넘길 수 있도록 발 빠르게 효과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
생활비가 앞으로의 글로벌 위험요소 1위라는 말이 나돈다. 그것은 사회취약계층에게 더 심각하게 받아들여질 것이다.
이번 기회에 지자체의 에너지에 관한 책임과 법도 제도로 명확히 하는 일이 필요하다. 지금처럼 소득기준으로 에너지 취약계층을 분류해서 그때그때 언 발에 오줌 누기 식으로 지원할 것이 아니라, 기후위기 시대에 부합하는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 그에 맞는 대비책 마련도 있어야겠다. 향후 소비자들의 가스비 부담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맹추위가 몰아친 1월에 사용한 가스요금 고지서는 이번달에 나온다. 또 정부는 올 2분기 또 가스요금을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난방비 폭탄을 맞은 주민들도 난방비가 왜 이렇게 올랐는지 원인을 알고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방법을 찾아야 한다. 가습기 사용, 외풍을 막기위한 문풍지 사용, 창문단열이나, 가스 사용량을 7% 이상 아끼면 난방비를 돌려받는 캐시백 제도 이용 등 난방비를 조금이라도 아끼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