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国统计年鉴-2021》의 자료에 따르면 12,742명으로 비교적 적은 수의 소수민족에 속한다.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이란, 아프가니스탄 및 기타 국가에서 주로 생활하며 중국의 우즈벡족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많은 현과 도시에 흩어져 살고 있으며 대부분은 도시에 살고 일부는 농촌에 살고 있다.
우즈벡 수공업의 집중 발전 지역은 샤차(莎车, 신장(新彊) 위구르 자치구에 있는 현(縣) 이름)이며 대부분이 견직물 산업이다. 19세기 중반 이전에 우즈벡 사람들은 대부분 상업에 종사했다. 일부는 수백 마리의 낙타, 노새, 말을 몰고 중앙아시아와 신장을 왕래하고 일부는 신장 남부에서 신장 북부 사이에서 가축과 농축산물을 거래했다.
우즈베크족은 일찍부터 이슬람교를 믿었다. 이슬람은 우즈벡족의 문화교육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오랫동안 우즈벡 청소년들은 주로 종교 교육을 받았다.
최근에 내 중국 이야기는 중국 문화 중, 중국의 다양한 민족 문화에 대한 이야기이다. 중국에는 90% 이상의 한족과 55개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주로 거주하는 우즈베크족(乌孜别克族)을 소개하려고 한다.
우즈벡족의 복장은 남녀 모두 각양각색의 작은 모자를 쓰는 것이 특징이다. 우즈벡족은 하루 세 끼를 먹는데, 식사할 때 노인은 윗자리에 어린이는 아랫자리에 앉는다. 우즈벡 사람들은 대부분 젓가락과 숟가락으로 식사를 하지만 일부 여성과 아이들, 특히 목축지에서는 여전히 손으로 음식을 먹는다. 우즈벡족은 이슬람교의 식생활 금기를 따르고 양, 소, 말고기 및 그 유제품을 먹는다. 밀크티는 우즈벡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음료이기도 하다. ‘납인(纳仁)’은 우즈베크족이 손님을 접대하기 위해 사용하는 진미로 가장 민족 특색이다. 삶은 고기를 발라 잘게 썰고 양파, 후추, 요구르트를 넣고 섞어 육수를 붓고 손으로 먹는다. 조반(抓饭, (위구르 족이 즐겨 먹는 양고기를 섞은) 육반(肉飯))은 우즈벡족이 손님을 접대하기 위해 대접하는 독특한 음식 중 하나다.
우즈벡족의 주요 축제로는 ‘성기절(圣纪节)’, ‘육쯔절(肉孜节, 이슬람교의 제일(祭日))’, ‘고이방절(古尔邦节)’ 등이 있다. 전통 명절은 기본적으로 이슬람교를 믿는 다른 지역 명절과 동일하며, 육쯔절(肉孜节)과 고이방절(古尔邦节)이 일년 중 가장 성대한 명절이다. 우즈벡족은 예절을 중시하고 예의를 중시한다.사람들은 서로 돕는 것이 즐겁고, 베푸는 것이 영광이라고 생각하며, 우호적이고 즐겁게 지낸다. 연장자는 ‘阿喀’(오빠), ‘阿恰’(언니), 젊은이는 ‘吾康’(동생), ‘森额尔’(여동생)으로 불린다.
여기에는 우리 민족이었던 고려인도 살고 있다. 힘겹게 한국인임을 지키며 살아가고 있는 고려인도 기억하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 사진 및 자료 출처 : baidu.com, 중국 소수민족 연구 : 소수민족으로 분석하는 중국
** 필자 메이칭의 카페 : http://cafe.naver.com/orangewo8x5(네이버 카페 “메이칭”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