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시시설관리공단(이하 시설공단) 이사장에 새 인물이 뽑혔다. 먼저 축하를 전한다.
하지만 이와 관련한 여론은 실망이라는 반응이 압도적이다. 우선 시민들은 쇄신 의지가 확고했던 최기문 시장이 어떤 인물을 발탁할지에 관심이 높았다. 그런데 채용 과정에 공정성과 절차상 문제를 보며 절망한다. 영천시가 지난 2월 시설공단 이사장 모집공고를 하자 3명이 응모했다. 여기서 공직 출신인 현 이사장이 ‘공직자윤리법’의 ‘취업승인심사’에 관한 서류를 제출하지 않은체 면접 심사를 받았다.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공고 내용이 어떻길래 시가 면접 직후 곧바로 추천자를 발표하지 못한채 위원들의 면접 결과를 밀봉해 두고 경상북도의 ‘취업승인’ 여부 심사를 3주간 기다려야 했는지다. 시는 경북도와 임원추천위원들의 협의를 거쳐 우선 면접을 보고 차후 도의 심사 결과에 따라 임추위원들이 최종 2명을 영천시장에게 추천하기로 했다고 한다.
상황이 이렇게되니 4월 1일부터 신임 이사장이 업무를 시작해야 했지만 지난달 29일에야 최종 추천했고, 부임 하루 전에 임명하는 촌극을 빚었다. 특히 공정성 문제에서 현직 공무원이 퇴임한 공무원에게 지원을 권유하는 연락을 했다는 후문마저 도는 가운데 임원추천위원 관련해서도 세간에 말들이 많다.
7명의 추천위원 중 대학교수 한사람을 빼고 나머지 6명이 퇴직 공무원 출신인 점에서 ‘그들만의 리그’라는 비판 여론이 나온다. 당시 소식을 접한 시민들은 자격문제를 지적했고, 현직 공무원들마저 오해 받을거라며 수군거렸다. 또 영천에는 공무원 빼면 사람이 없냐는 식으로 비꼬았다. 지역 각 기관단체장 모집에 시청 공무원 출신들이 응모를 하고, 면접마저 그들이 보는 꼴을 보면서 끼리끼리 다 해 먹는다는 소리를 한다. 지역에 진정 공무원 출신 말고는 인물이 없는지 생각해볼 문제다. 이런 식의 공직출신 자리 만들기를 할려면 차라리 시설공단을 다시 영천시로 통합하라는 말마저 나온다.
우리는 시설공단이 설립되기 전부터 세금 낭비에 대한 우려와 함께 퇴직 공무원 자리 만들기, 보은인사 자리가 되는 우려를 나타냈다. 그 우려가 현실이 된 건 아닌지 모르겠다.
사회단체든 공기업이든 퇴직 공무원을 위한 자리 만들기를 끝내야 한다는 목소리에, 지역의 모든 기관에 공직자 출신 인사들을 전수 조사해 밝히라는 이야기까지 나오는 판국이다.
새로 취임한 이사장은 지역민들의 이런 우려를 명심하고 경영성과로 모든 것을 불식시켜야 한다. 효율적인 관리는 기본이고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문제, 혁신 경영으로 일등 공기업이라는 성과를 내야하는 등 해결 해야할 일이 태산같다.
7년여의 산고 끝에 출범한 시설공단의 설립취지를 똑바로 알고 항해에 나서는 선장이길 바란다. 아울러 영천시도 이사장 자리가 퇴직 공무원의 일자리 제공을 위한 수단이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서는 누가 보더라도 이해할 수 있는 임용자격 제시와 투명하고 깨끗한 채용절차를 거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