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 聞閒用上韻懷草史(문한용상운회초사)       시를 듣고 초사가 생각나서 山聾水啞月明時(산롱수아월명시)  散步從容1)不覺遲(산보종용불각지)  襟懷草野2)難求玉(금회초야난구옥)  世事仙翁滿布碁(세사선옹만포기)  如錦霜楓粧洞口3)(여금상풍장동구)  暮江夕霧染山眉(모강석무염산미)  傍人莫謂無心作(방인막위무심작) 草史來筵一笑期(초사래연일소기)  산은 귀먹고 물소리도 말 없는 달 밝은 때 조용히 산보하다 늦는 줄도 몰랐네. 가슴 속에 초야를 품었으니 옥(玉)을 구하긴 어려워 세상일은 선옹(仙翁)의 바둑판에 채워두었네. 비단 같은 서리 맞은 단풍이 동구(洞口)를 꾸미고 저물녘 강에 저녁 안개 산 중턱을 물들이네. 이웃들아 내 마음이 지어냄이 없다 말아라! 초사(草史) 와서 자리 함께하여 한바탕 웃기를 기다리네.    75. 又 또 菊史4)常逢草史時(국사상봉초사시)  5)不覺語遲遲(위이불각어지지)   生同俠藪長論(생동협수장론인)      才劣文枰6)未學碁(재열문평미학기)  依昔雄心遊紫陌7)(의석웅심유자맥)  如今放跡靑眉8)(여금방적주청미)  莫使男兒先挫氣(막사남아선좌기)  百年猶有豈無期(백년유유기무기)  국사(菊史)가 초사(草史)를 만날 때마다  굼실굼실 이야기는 끝이 없네. 협객의 숲에서 함께 살며 늘 검[釰]을 논하였으나 바둑판에는 재주가 없어 바둑을 배우진 못했다네. 옛 그대로 웅심(雄心)을 품고 번화한 거리에서 놀더니 오늘에야 발걸음을 놓아 푸른 눈썹과 짝하였구나. 사나이가 먼저 기운을 꺾지는 말아야지  백년을 오히려 어찌 기약함이 없을 수 있겠는가. <산남의진유사(山南義陣遺史)29p> 동엄 정환직 선생 詩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2 05:12:42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