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남창 정제(鄭梯)의 백학서원 풍영루 중수 기문(1761년 소작) (백학)서원의 부임(부원장)인 이매씨가 사림(士林)들의 뜻으로 와서 말하기를 ‘풍영루를 중수하고 공사가 끝났으니 원하건대 한 말씀으로 기문을 삼고자 합니다’라 하는데, 나를 돌아보면 글재주도 없는데다 나이가 들어 쇠약하고 늙어 정신과 지혜가 황폐하니 어이 능히 그 필요한 바에 부응하겠는가 하여 머뭇거리며 굳이 사양하는데 (기문을)청함이 더욱 근직하였다. (그리하여)시험 삼아 지나간 일들을 살펴보니 가정34년(서기1552년) 을묘에 금계 황준량 선생께서 신녕 고을 현감이 되었을 때 특히 백학산의 높고 빼어나 전망이 빼어나며 깊숙하여 고요함을 사랑하여 공무(公務)를 본 여가에 이곳에 올라 유람하며 즐기다가, 드디어 고을의 여러 분들과 도모하여 이에 몇 칸의 정사(精舍)를 지어 그것을 학문을 갈고 닦는 장소로 삼았다. 밭(위토)을 두고 창고를 지어 스님을 머물러 지키게 하고, 널리 선비들과 아이들을 모아 특별히 교양(敎養)을 베풀 되 법도가 있게 하고, 언제나 좋은 시절과 아름다운 경치에는 강의(강론)하는 자리에 엄숙하게 임하게 하여 떼 지어 모여 토론하고 도의(道義)를 갈고 닦는다. 한 지역의 고요하고 외떨어진 곳이 몇 년이나 하늘이 아끼고 땅이 감추어 두다가 하루아침에 갑자기 유림(儒林)들의 글을 외우고 노래하는 곳이 되었으니, 이 산이 선생을 만남 또한 어이 우연이었겠는가? 장차 옛날의 녹동(鹿洞)의 백학산과(더불어)천년이 지난 후에 나란히 아름다우니, 화산의 한 지역이 가히 한번 변하여 노나라(魯 공자의 고국인 노나라. 즉 성인의 나라)로 된 것이다. 금계 황준량은 실로 퇴계 이황선생의 빼어난 제자인데, 일찍이 선생의 문하에 우러러 품의하여 (서당의)이름을 여쭈었더니 퇴계 선생께서는 ‘백학서당’이라 명명하시고 손수 (백학서당 이라는)넉자의 큰 글자를 쓰셔서 편액 하셨다. 이에 공은 스스로 서문을 지어 그 일들을 기록하고 또한 시 세편과 도산서원의 학규(學規)로써 학문을 권장하고 권면하는 본보기를 부치셨으니, 두 분 선생의 (유학을) 진작하시는 하나의 방법의 뜻이 성대하지 않겠는가? 이듬해인 병진년 겨울 선생께서는 임기를 마치고 돌아가셨지만 남기신 서당이 예전과 같으므로 고을의 선비들이 (황준량 공이)가신 후에도 사모하는 마음이 이에 미상불 애타게 그리워하지 않음이 없었다. 임진왜란으로 모두 재가 되어버려 편액과 학규는 없어져 남아있지 않았지만, 그러나 홀로 시판(詩板)만이 어느 선비의 집에 온전히 남아 있어 이로부터 한 고을의 인사(人士)들이 서원이 있던 옛터가 잡풀에 우거짐에 대하여 개탄하지 않는 이가 없어 언제나 (사당을)중수함으로 뜻을 삼지 않음이 없었다.                     (계속)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2 04:49:22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